Clos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BibTex RIS APA Harvard MLA Vancouver Chicago

@article{HGNHB8_2018_v37n1_28,
author={Tae-Jun. Lim and Jin-Myeon. Park and Seong-Eun. Le},
title={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journal={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issn={1225-3537},
year={2018},
volume={37},
number={1},
pages={28-33},
doi={10.5338/KJEA.2018.37.1.06},
url={https://doi.org/10.5338/KJEA.2018.37.1.06}

TY - JOUR
AU - Lim, Tae-Jun.
AU - Park, Jin-Myeon.
AU - Le, Seong-Eun.
TI -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T2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PY - 2018
VL - 37
IS - 1
PB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SP - 28-33
SN - 1225-3537
AB - 수박 휴작기에 풋거름 작물로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재배한 후 토양으로의 환원이 후작물 수박의 생육과 수량 그리고 토양의 질산태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파종 후 151일간 재배한 후에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토양 질소 환원량은 각각 79 kg/ha와 88 kg/ha였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은 시설하우스 한 동씩 두 동의 면적에 풋거름 작물구, 풋거름작물에 요소 25%, 50%, 75% 처리구, 요소 100% 등 5처리를 각각 두었다. 수박의 생육은 각각의 헤어리베치 및 호밀 처리에서 동일한 생육을 나타냈고 수박의 수량에서도 처리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토양의 질산태 질소함량은 수박 정식 후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정식 후 75일째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호밀처리구는 호밀만 투입만 처리가 52 mg/kg으로 가장 낮았고, 헤어리베치 처리간 비교에서도 마찬가지로 헤어리베치만 공급한 처리가 가장 낮은 44 mg/kg이었다. 헤어리베치와 호밀 등 녹비작물만의 투입으로도 수박의 재배기간 동안에 토양의 질산태 질소가 40 mg/kg 이상으로 존재하여 화학비료의 추가적인 시비 없이도 동일한 생육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수박의 수량과 재배기간에의 토양 중 질산태질소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BACKGROUND: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soil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HV) or ryeas a green manure on the growth and yields of watermelon and soil nitrate nitrogen in a green house.METHODS AND RESULTS:HV and rye were cultivated for 151 days after sowing on October 30th and incorporated into soil before transplanting watermelon. The amount of N added by soil incorporation of HV and rye were 79 kg/ha and 88 kg/ha, respectively. Five different N treatments for each of HV and rye were included as follows: green manure, green manure with urea at 25%, 50%or 75%, and 100% ureafor the N recommendation rate.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watermelon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of both HV and rye. Soil nitrate N content at both HV and rye treatment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the lapse of days after planting (DAP) and was lowest at 75 DAP: 44 mg/kg and 52 mg/kg the for the HV and rye treatment without urea, respectively.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 mineralized from the soil incorporated HV or rye accounts for an important portion of N available for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watermel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reen manures, comparable to ureacould ensure the yield of watermelon, if soil nitrate N content isabove 40 mg/kg by soil incorporation of HV and rye during watermelon cultivation. However,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nitrate N content during cultivation periods and the fruit yield of watermelon are required.
KW - Fruit yield
KW - Hairy vetch
KW - N recommendation
KW - Rye
KW - Soil nitrate
KW - Watermelon
DO - 10.5338/KJEA.2018.37.1.06
UR - https://doi.org/10.5338/KJEA.2018.37.1.06
ER -

Lim, T. J., Park, J. M., & Le, S. E. (2018).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7(1), 28-33.

Lim, TJ, Park, JM & Le, SE 2018,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 37, no. 1, pp. 28-33. Available from: doi:10.5338/KJEA.2018.37.1.06

Lim, Tae-Jun, Jin-Myeon Park, and Seong-Eun Le.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7.1 (2018): 28-33.

1. Lim TJ, Park JM, Le SE.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Internet]. 2018;37(1): 28-33. Available from: doi:10.5338/KJEA.2018.37.1.06.

Lim, Tae-Jun, Jin-Myeon Park and Seong-Eun Le.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7, no.1 (2018): 28-33. doi: 10.5338/KJEA.2018.37.1.06.

Menu
Open Access Journa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p-ISSN 1225-3537
e-ISSN 2233-4173

HOME > Archives > Article View

Article History

Received2018-02-02
Revised2018-02-21
Accepted2018-03-25

Contents

Citation

1 Estimation of Nitrogen Fertilizer Recommendations for cucumber by Soil Incorporation of Rye Based on Soil Nitrate Nitrogen Content  /  2018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vol.51, no.3, pp.189 /  10.7745/KJSSF.2018.51.3.189

Article View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8. Vol.37. No.1. pp.28-33

DOI : https://doi.org/10.5338/KJEA.2018.37.1.06

Number of citation : 1
crossmark images crossmark images

Abstract

BACKGROUN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soil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HV) or ryeas a green manure on the growth and yields of watermelon and soil nitrate nitrogen in a green house.

METHODS AND RESULTS:

HV and rye were cultivated for 151 days after sowing on October 30th and incorporated into soil before transplanting watermelon. The amount of N added by soil incorporation of HV and rye were 79 kg/ha and 88 kg/ha, respectively. Five different N treatments for each of HV and rye were included as follows: green manure, green manure with urea at 25%, 50%or 75%, and 100% ureafor the N recommendation rate.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watermelon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of both HV and rye. Soil nitrate N content at both HV and rye treatment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the lapse of days after planting (DAP) and was lowest at 75 DAP: 44 mg/kg and 52 mg/kg the for the HV and rye treatment without urea,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 mineralized from the soil incorporated HV or rye accounts for an important portion of N available for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watermel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reen manures, comparable to ureacould ensure the yield of watermelon, if soil nitrate N content isabove 40 mg/kg by soil incorporation of HV and rye during watermelon cultivation. However,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nitrate N content during cultivation periods and the fruit yield of watermelon are required.

Keyword

Fruit yield,Hairy vetch,N recommendation,Rye,Soil nitrate,Watermelon

서론

시설재배에서는 양분간의 불균형 심화와 토양의 염류집적에 따른 작물의 생산성 감소 등이 꾸준히 문제시 되고 있는데, 화학비료나 가축분뇨의 투입량을 절감하면서 토양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의 하나가 풋거름작물 재배이다(Choi et al., 2010; Lim et al., 2014). 풋거름작물이란 채소나 벼를 재배하지 않는 휴작기 동안에 풋거름 종자를 파종하고 생육 최성기 또는 주작물을 정식하기 전에 토양에 환원함으로써 후작물에게 양분을 공급하여 주는 작물을 말한다(Park et al., 2008).

풋거름작물에는 호밀(Secalecereal L.)과 수단그라스(Sorghum biocolor L.) 등 화본과와 헤어리베치(Viciavillosa Roth)와 크로탈라리아(Crotalaria juncea L.) 등 두과작물로 분류할 수 있다. 호밀은 작물 재배기간 동안 두과작물과 비교하여 높은 생체중을 얻을 수 있으므로(Won et al., 2012; Lim et al., 2012), 토양환원을 통해서 유기물 함량을 높이고 용적밀도를 낮추는 효과는 있지만(Fageria et al., 2005),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없으며 식물체의 질소함량이 1% 내외이기 때문에 후작물에 대한 질소공급능력이 낮다(Lee et al., 2006; Kim et al., 2012).

반면에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는 식물체 중의 질소함량이 2.5-4.0%로 화본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으며 충분한 기간에 걸쳐서 재배를 한 경우에는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거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Jeon et al., 2009; Lee et al., 2011, Song et al., 2010). Jeon et al. (2009)은 밭 토양에서 헤어리베치를 9월에 파종한 후 4월 중순에의 헤어리베치에 의한 질소 고정량은 138 kg/ha 이지만 5월 중순까지 재배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207 kg/ha로 녹비 질소량이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Lee et al. (2011)등은 5월 9일에 헤어리베치를 토양에 환원한 후 벼의 수량이 5,449 kg/ha로 화학비료 표준시비구와 동일한 수량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의 시설하우스 재배면적은 2014년 기준으로 63,815 ha이며 이 중 수박은 14,010 ha로 가장 많은 면적에서 재배를 하고 있으며(MAFRA, 2015a), 생산액으로는 10천억원을 나타낼 정도로 매우 중요한 채소 작물이다(MAFRA, 2015b). 시설재배에서 수박은 일반적으로 1년 2기작으로 재배를 하며 4월 초에 정식하고 7월 초에 수확을 한 후 이후에는 7월 중순에서 10월 초까지 다시 수박을 심거나 멜론, 단호박 등을 재배한다. 이들 작물의 수확 후 이듬해 3월 까지는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휴경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시기에 휴경보다는 풋거름작물인 호밀과 헤어리베치 등을 재배한 후 토양에 다시 환원함으로써 토양의 물리성 개선할 수 있으며 유기물의 분해에 따른 양분의 공급효과로 비료사용량을 절감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박 재배 휴한기에 풋거름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재배한 후 토양으로의 환원이질소의 양분공급효과와 수박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질소 화학비료구와 비교함으로써 화학비료의 대체효과를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및방법

시험토양 및 처리방법

2012년 10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북위36°93’68.41”, 동경 127°52’30.81”) 시설수박 재배농가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박을 재배하지 않는 휴작기간 동안에 시설하우스 두 동에 대해서 헤어리베치와 호밀 종자를 각각 ha 당 60 kg 해당량으로 10월 30일에 파종하였으며, 시설하우스 한 동의 면적은 500 m2이었다. 파종 후이듬 해 3월 29일까지 풋거름작물을 151일간 재배하였으며 로터리 경운 후 토양에 전량 환원하였다.

토성은 미사질양토이며풋거름작물을 재배하기 전 토양의 pH는 헤어리베치 처리구는 5.7 호밀 처리에서는 5.8이었다(Table 1). 토양의 염농도(EC, Electrical conductivity)는 헤어리베치와 호밀 처리구에서 각각 3.7과 3.8 dS/m이었고, 질산태질소 농도는177과 194 mg/kg이었다. 토양검정에 의한 수박의 질소 시비추천량은 토양의질산태 질소의 분석 후 Y=20.3–0.067 X (Y: 질소시비량 kg/10 a, X: 토양질산태 질소)에 대입하여 산정하였으며(NIAST, 2006), 질소 화학비료 시비는 요소(46-0-0)로 공급하였다. 토양검정에 의한 질소 시비추천량은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하우스에서 각각 84과73 kg/ha이었다. 시험 처리는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재배한 각각의 하우스에서 풋거름작물, 풋거름작물+요소 25%, 풋거름 작물+요소 50%, 풋거름 작물+요소 75%, 요소 100% 등5처리를 두었고 난괴법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질소의 처리는 전량 밑거름으로 시비하였으며 인산과 칼리의 시비는 용성인비와 염화가리 비료로 토양검정 후 밑거름으로 공급하였다. 시험구의 크기는 가로 5 m×세로 4 m로 정식 1주일 전에 이랑을 조성하였으며 중앙의 고랑 너비는 60 cm이고 양측면의 이랑 너비는 2.2 m이었다. 수박 재식은 양측면에 1열로 재배하였으며 품종은 삼복꿀수박으로 4월 13일에 정식하였다. 수박의 생육은 정식 75일 후에 처리별로 6주에 대해서 덩굴길이, 엽장, 엽폭을 측정하였다. 정식 후 84일에는 수박의 과중, 과장, 과폭 및 당도를 조사하였으며 정식 후 89일에 수박을 수확하였다. 수박의 당도는 굴절당도계(PR-101, ATAGO)로 측정하였다. 토양 중 질산태 질소는 수박 정식 후 15일부터 15일 간격으로 0-15 cm의 깊이의 토양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토양 및 식물체 분석

토양의화학성 분석은 2 mm 체를 통과한 풍건 시료에 대해서 토양의 pH는 토양과 물의 비율을 1:5로 하여 30분간 진탕 후 pH meter (ORION Model 720 A, MA, USA)로 측정하였고, 토양 EC는 1:5로 침출한 후 전기전도도계(YSI Model 35, OH,USA)로 분석하였다. 유기물은 Tyurin법(Nelson and Sommers, 1996), 유효인산은 Lancaster법(NIAST, 2010)으로, 치환성 K, Ca, Mg은 1N-CH3COONH4 (pH 7.0)완충용액으로 침출하여 ICP-OES (MX2, GBC, Australi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산태 질소는 2 M KCl로 침출하여 켈달(B-316, Bűchi, Switzerland)로 증류한 후 황산표준용액 0.01 N로 적정하여 계산하였다(Mulvaney, 1996). 식물체시료는 70℃에서 건조후분쇄된 시료를 산 분해용액(HClO4:H2SO4=10:1)으로 습식 분해하여 질소는 Kjeldahl법 (NIAST, 2010)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및고찰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질소 고정량

수박을 재배하지 않는 기간에 풋거름작물인 헤어리베치를 재배한 결과생체중은 19 Mg/ha이었고 건물중과 건물률은 각각 1,980 kg/ha와 10.4%이었으며, 질소함량은 4.0%를 나타내었다(Table 2). 호밀의 생체중은 31 Mg/ha이었고 건물중과 건물률은 각각 4,000 kg/10 a와 12.9%이었으며, 질소함량은 2.2%였다. 각각의 건물중과 질소함량으로부터 토양으로 환원된 유기태 질소량을 환산하면 헤어리베치는 79 kg N/ha이었고 호밀은 88 kg N/ha였다. 두 종류의 풋거름작물 중에서 호밀의 생육량은 헤어리베치보다 11 Mg/ha 많아서 토양의 환원을 통한 물리성 개선효과는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풋거름작물의 생체량이 높지 않았는데 이는 비록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를 하더라도 겨울이 지나고 작물의 생육이 활발해지는 시기인 3월에 토양에 환원을 하였기 때문에 충분한 생육량을 얻지 못하였기에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적었다(Jung et al., 2015).

수박의 생육 및 수량

수박 정식 후 75일에서 호밀만을 투입한 처리의 덩굴길이, 엽장, 엽폭은 각각 492.8 cm, 24.6 cm, 25.8 cm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호밀+요소 25%, 호밀+요소 50%, 호밀+요소 75% 처리와 더불어서 토양검정 시비구인 요소 100% 처리구인 474.0 cm, 23.2 cm, 24.8 cm와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Table 3). 마찬가지로 헤어리베치만을 투입한 처리의 덩굴길이, 엽장, 엽폭은 각각 474.8 cm, 24.0 cm, 24.0 cm이었는데 이는 헤어리베치+요소 25%, 헤어리베치+요소 50%, 헤어리베치+요소 75% 및 요소 100% 처리와도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수박의 과중은 헤어리베치 처리구간 비교에서 헤어리베치만 투입한 처리에서 8.9 kg을 호밀처리구 간 비교에서는 호밀만 공급한 경우 9.0kg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 등 풋거름작물만을 투입한 처리가 각각의 시험 처리에서 가장 과중이 무거웠지만 처리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Table 4). 수박의 수량에서도 헤에리베치 처리구간 비교에서 헤어리베치만 투입한 처리가 65,840 kg/ha이었고, 호밀 시험 처리도 호밀만 투입한 처리가 66,940 kg/ha로 풋거름작물에 요소비료의 추가 투입이나 요소 100%와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과 및 화본과의 구분없이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풋거름작물로써 토양에 환원이 된 후에 분해되어 후작물인 수박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질소 양분 등을 제공하였음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Wagger (1989)는 16주간의 무기화 과정에서 헤어리베치는 탄질률이 8:1일 때 87%이었고 11:1인 경우는 65%가 분해된 반면 호밀의 경우 탄질률이 36:1일 때 47% 가 분해된다고 보고하였다.

수박 생육기토양 중 질산태 질소 농도

수박의 생육기간 동안에 풋거름작물인 헤어리베치 또는 호밀만 투입한 처리구와 대조하여 요소 25%, 50%, 75% 등 화학비료를 추가하였거나 화학비료만 처리한 요소 100%에서 토양 중 질산태 질소의 농도가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작물 정식 전의 질산태 질소 농도와 대비하여 수박 정식 후 재배기간의 경과에 따라서 모든 처리구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Fig. 1). 이러한 이유는 식물로의 질소 양분흡수에 의한 영향과 더불어서 충분한 관수를 함으로써 질산태 질소가 작토층 아래로 일부 이동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Lee et al., 2012).

수박 전체 생육기간 동안에 토양의 질산태 질소는 정식 후 75일째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는데 호밀처리구는 호밀만 투입만 처리가 52 mg/kg으로 가장 낮았고, 헤어리베치 처리간 비교에서도 마찬가지로 헤어리베치만 공급한 처리가 가장 낮은 44 mg/kg이었다. 작물 정식 후 토양 중질산태 질소의 함량은 25-40 mg/kg의 수준에 있으면 질소의 추가적인 시비 없이도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질소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Binford and Hansen, 2000; Hartz et al., 2000; Heckman et al., 2002). 단 옥수수는 토양 중의 질산태질소가 25 mg/kg 수준으로 존재해도 최대수량을 얻을 수 있으며(Heckman et al., 1995), 시설 잎들깨에서는 재배기간 동안 토양 질산태 질소의 적정 하한기준과 상한기준의 범위를 10-40 mg/kg로 보고하고 있다(Kang et al., 2011). 이러한 결과로부터 호밀과 헤어리베치 등 풋거름작물의 투입으로도 비록 작물은 다르지만 수박의 생육기간 동안에 40 mg/kg 이상으로 충분한 양의 토양 중 질산태 질소가 존재하였기에 풋거름작물에 화학비료의 추가시비나 화학비료 100%와의 비교에서 수량의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수박의 수량과 재배기간에의 토양 중 질산태질소와 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The author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esearch project (PJ00650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Tables & Figures

Table 1.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before sowing hairy vetch and rye.

이미지설명 Values are means with standard errors in parentheses (n=3).
Table 2.

Fresh weight, dry weight, N content and N application rates from hairy vetch and rye incorporation ofsoil, respectively.

이미지설명 Values are means with standard errors in parentheses (n=3).
Table 3.

The growth of watermelon under soil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or rye as green manure crops and different N fertilizer application.

이미지설명 Values are means with standard errors in parentheses (n=6).
Table 4.

Influence of soil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or rye as green manure crops and different N fertilizer on the fruit growth and the yield of watermelon.

이미지설명 Values are means with standard errors in parentheses (n=4).
Fig. 1.

The change of nitrate nitrogen in soil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watermelon after hairy vetch or rye as green manure crops and different N fertilizer. Vertical bars indicat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n=3).

이미지설명

References

1. Binford, G. D., & Hansen,D. J. ((2000)). Diagnostic nitrogen tests for manure amended soil: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Northeast Regional Agricultural Engineering Service (NRAES)..

2. Choi, B. S., Jung, J. A., Oh, M. K., Jeon, S. H., Goh, H. G., Ok, Y. S., & Sung,J. K. ((2010)).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n improve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soil.. Korean Journal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 650 - 658.

3. Fageria, N. K., Baligar, V. C., & Bailey,B. A. ((2005)). Role of cover crops in improving soil and row crop productivity.. Communicatio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36. 2733 - 2757. CrossRef

4. Hartz, T. K., Bendixen, W. E., & Wierdsma,L. ((2000)). The value of presidedress soil nitrate testing as a nitrogen management tool in irrigated vegetable production.. Hortscience 35. 651 - 656.

5. Heckman, J. R., Hlubik, W. T., Prostak, D. J., & Paterson,J. W. ((1995)). Pre-sidedress soil nitrate test for sweet corn.. Hortscience 30. 1033 - 1036.

6. Heckman, J. R., Morris, T., Sims, J. T., Sieczka, J. B., Krogmann, U., Nitzche, P., & Ashley,R. ((2002)). Presidedress soil nitrate test is effective for fall cabbabe.. Hortscience 37. 113 - 117.

7. Jeon, W. T., Seong, K. Y., Lee, J. .K., Kim, M. T., & Cho,H. S. ((2009)). Effects of seeding rate on hairy vetch (Viciavillosa)-rye(Secalecereal) mixtures for green manure production in upland soil..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4. 327 - 331.

8. Jung, Y. J., Nou, I. S., & Kang,K. K. ((2015)).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n tomato growth and soil improvement for reduction of continuous cropping injury through crop rotation in greenhous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8. 263 - 270. CrossRef

9. Kang, S. S., Lee, J. Y., Sung, J. K., Gong, H. Y., Jung, H. J., Park, C. H., Yun, Y. U., Kim, M. S., & Kim,Y. H. ((2011)). Recommendation of the amount of nitrogen top dressing based on soil nitrate nitrogen content for leaf perilla (Perillafrutescens) under the plastic film hous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 1112 - 1117. CrossRef

10. Kim, K. M., Lee, B. J., & Cho,Y. S. ((2012)). Differences of soil carbon by green manure crops in rotated cropping system..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 1027 - 1031. CrossRef

11. Lee, C. H., Lim, T. J., Kang, S. S., Kim, M. S., & Kim,Y. H. ((2012)). Relationship between cucumber yield and nitrate concentration in plastic film house with ryegrass applicatio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 943 - 948. CrossRef

12. Lee, I. B., Park, J. M., Lim, J. H., & Hwang,K. S. ((2006)).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the following tomato crop according to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s into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5. 346 - 351. CrossRef

13. Lee, Y. H., Lee, S. M., Sung, J. K., Han, H. S., Ahn, J. W., Kwak, C. G., & Kim,W. S. ((2011)). Soil properties and growth and yield of rice affected by compost, rice straw and hairy vetch..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9. 397 - 404.

14. Lim, T. J., Kim, K. I., Park, J. M., Lee, S. E., & Hong,S. D. ((2012)). The use of green manure crops as a nitrogen source for lettuce and Chinese cabbage production in greenhous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1. 212 - 216. CrossRef

15. Lim, W, S., Lee, H. H., & Hong,C. O. ((2014)). Nitrogen dynamics in the soils incorporated with single and mixture application of hairy vetch and barle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3. 298 - 305. CrossRef

16. Mulvaney,R. L. ((1996)). Nitrogen-inorganic forms.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SSSA Book Series No 5.SSSA and ASA. 1185 - 1200.

17. Park, S. T., Jeon, W. T., Kim, M. T., Sung, K. Y., Ku, J. H., Oh, I. S., Lee, B. K., Yoon, Y. H., & Lee,J. K. ((2008)).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and rice production using green manure crops.. 20 - 21.

18. Seo, H. K., Jung, Y. J., Lee, I. H., Kim, M. D., & Kang,K. K. ((2014)).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n tomato growth and soil improvement for reduction of continuous cropping injury through crop rotation in greenhouse. 75 - 76.

19. Song, B. H., Lee, K. A., Jeon, W. T., Kim, M. T., Cho, H. S., Oh, I. S., Kim, C. G., & Kang,U. G. ((20100).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f Legume and Gramineae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 in rice cultivation with respect to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5. 144 - 150.

20. Wagger,M. G. ((1989)). Time of desiccation effects on plant composition and subsequent nitrogen release from several winter annual cover crops.. Agronomy Journal 81. 236 - 241. CrossRef

21. Won, J. G., Jang, K. S., Hwang, J. E., Kwon, O. H., Kwon, T. Y., & Cho,J. R. ((2012)). Effect of tillage and no-tillage of winter green manure crops on yield of red pepper in plastic film house.. Weed & Turfgrass Science 1. 18 - 23.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