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및고찰
제이철(Fe3+) 및 6가 크롬(Cr6+)의 환원
금속환원균주 HN-41는 용존 Cr(VI)을 혐기적 대사의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것이 사전 실험으로부터 확인되지 않았다. 그래서 최종전자수용체로서 ferric-citrate를 사용하였고, Cr(VI)을 세 종류의 농도(0.01 mM, 0.1 mM, 1 mM)로 실험하였다. ferric-citrate는 환원되어 생성하는 Fe(II)를 모니터링한 결과, 0.01 mM Cr(VI) 사용 배양에서는 초기 약 5 mM의 ferric citrate[4.89±0.11 mM Fe(III)]에서 4일 후 4.63±0.06 mM Fe(II)가 생성되고 안정화되어 평균 약 94.7%가 환원되었다(Fig. 1A). 그와 상대적으로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Fe(II)의 생성은 무시할 정도의 농도였다. Cr(VI)는 초기 약 0.01 mM이 사용되었고 1일 후 0.0078±0.0004 mM로 수용액 농도가 줄어들었고, 5일 후 0.0057±0.0004 mM로 약 42.4%가 Cr(III)로 환원된 결과를 보였다(Fig. 1B).
0.1 mM의 Cr(VI)이 사용된 배양에서는 ferric-citrate는 5일 후 4.29±0.18 mM의 Fe(II)가 생성되어 약 87.8%가 환원 되었지만(Fig. 2A), 농도가 안정되지 못하고 증가의 경향이 있어 배양이 더 진행되었다면 환원이 더 일어날 수 잠재성이 있었고, 이는 0.01 mM Cr(VI)을 사용한 배양보다 조금 느린 Fe(III) 환원 양상을 보인 것이다. Cr(VI)은 초기 0.099.3±0.001.8 mM에서 점진적인 감소를 보이며 5일 후 0.076.5±0.002 mM로 약 23.0%가 Cr(III)로 환원된 것으로 보였다(Fig. 2B). 1 mM의 Cr(VI)이 사용된 배양에서는 위의 두 배양 조건보다 더 느린 Fe(III) 환원 양상이 나타났다. 배양 1일 후 Fe(II)는 2.47±2.0 mM의 농도가 검출되었고, 이후 점진적인 증가를 나타내서 5일 후 3.57±0.08 mM의 Fe(II)가 검출되어 약 73.1%의 ferric-citrate가 환원되었다(Fig. 3A). 이는 Cr(VI)이 0.01 mM와 0.1 mM 농도로 사용된 배양에서 보다(각각 94.7%, 87.8%의 Fe(III) 환원), 같은 시점에서 상당히 낮은 정도의 환원이 진행된 것으로서, 6가 크롬의 독성과 세포의 생장 및 대사 정도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수용액상의 Cr(VI)은 배양 1일 후 0.71±0.04 mM로 감소하여 31.0%가 Cr(III)로 환원되었고,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배양 5일 후에는 0.46±0.06 mM의 농도로 검출되어 약 55.2%의 Cr(VI)가 Cr(III)로 환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3B).
동일 세포 농도를 사용하여 동일 시간의 배양으로 0.01 mM, 0.1 mM, 1 mM의 Cr(VI)이 다른 정도의 환원을 보였고, 이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Cr(VI)이 혐기적 대사의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되지 못함에 기인하며, 미생물 세포에 대한 Cr(VI) 독성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최종 배양에 세균 세포가 약 0.15 정도의 OD600 (2×108 cells/mL)로 비교적 높은 농도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1 mM 농도의 Cr(VI) 독성에서도 더 낮은 농도의 배양과 유사한 비율의 Cr(VI) 환원이 관찰된 것으로 판단된다. Fe(III)의 환원 정도도 Cr(VI) 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정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94.7%, 87.8%, 73.1%), 이것 또한 Cr(VI)의 독성에 따른 세포 생장 및 대사 정도의 감소로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Cr(VI)은 대부분 크롬산염(CrO42-)의 산소산 음이온(oxyanions) 형태로 존재하여 황산염이나 인산염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박테리아의 멤브레인(membranes)을 비교적 통과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는 반면[13], Cr(III)은 그 화합물의 불용성이 높아 세균의 멤브레인을 통과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이러한 Cr(VI)이 일단 멤브레인을 통과해 세포 내부로 들어오면, NADH, FADH2, 시스테인 등의 환원제들에 의해 Cr(III)로 환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기작들에 의해 강한 독성의 Cr(VI)에 저항 기작을 갖는 세균들이 잘 알려져 있다. 세균이 갖는 많은 금속 저항 기작들이 플라스미드 유전자에서 유래하듯이, Shewanella sp. ANA-3는 플라스미드에 Cr(VI) 저항을 유도하는 유전자(chr BAC)를 갖고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15]. 이러한 Cr(VI)의 환원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세균은 독성의 Cr(VI)에 저항하는 방법으로 catalase나 superoxide dismutase 같은 일반적인 활성산소 제거 효소에 의하거나, DNA 손상에 대응하는 효소에 의해, 또는 철을 흡수해 Fenton 반응을 통해 수산화 라디칼 생성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Cr(VI)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strain HN-41에 대해서는 Cr(VI) 저항 유전자 연구가 선행되지 않았지만, 혐기적 호흡에 관계하지 않을지라도 무독화(detoxification)를 위한 위와 같은 기능을 하는 유전자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며, HN-41이 어느 정도 농도의 Cr(VI)에서 생존하고 배양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일부의 저항 기작을 갖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Cr(VI)의 환원은 부수적인 또는 이차적인 환원으로 여겨진다. 비균일적(heterogenous) 환원에 우수한 고체 표면의 Fe(II)와 달리[16], 이 실험에서 생성된 수용액상의 Fe(II)에 의한 간접적인 환원은 그 정도가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Cr(VI) 초기 농도 0.01 mM, 0.1 mM, 1 mM을 사용하였을 때, Cr(VI) 환원 비율은 각각 42.4%, 23.0%, 55.2%를 보였다(Fig. 1B, Fig. 2B, Fig. 3B). 또한 위에 언급하였듯이 Fe(III)의 환원 정도는 94.7%, 87.8%, 73.1%로서 Cr(VI)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는 Fe(III)의 환원은 Cr(VI) 독성의 증가에 따른 대사의 저감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Cr(VI)의 환원은 비대사적인 반응으로서 세 종류의 배양실험에서 유사한 정도의 세포 농도가 갖는 유사한 농도의 효소들에 의한 반응으로, Michaelis-Menten kinetics에서 말하는 초기의 더 높은 기질(substrate, 여기서는 Cr)로 인한 더 높은 반응(환원)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반응에는 금속환원세균 특유의 세포 표면 멤브레인 시토크롬(outer membrane cytochromes)이 부수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17]. 본 연구에 사용된 Shewanella sp. HN-41균주에 의해 Cr(VI)이 혐기적 대사의 최종전자수용체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주 가까운 균주인 Shewanella oneidensis MR-1 균주에서 제시되었듯이 멤브레인 시토크롬인 MtrC와 OmcA에 의해 Cr(VI)이 Cr(III)로 환원되었을 잠재성이 크다[18].
환경오염에 대한 의의
광물 Fe(III)의 환원으로 생성된 Fe(II)는 광물표면에서 비균질한(heterogenous) 반응을 매우 잘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8,16], 이는 Cr(VI)의 환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 하지만 수용액상의 Fe(II)는 그 환원성이 크게 줄어들어 Cr(VI)에도 효과가 아주 미미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세포의 외부 멤브레인 시토크롬의 역할로 인해 Se(IV), Tc(VII), U(VI) 같은 용해된 금속이온들이 환원될 수 있듯이 Cr(VI)도 Cr(III)로 환원되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20], 이 연구에서의 Cr(VI) 환원은 고체상이나 수용 액상의 Fe(II)에 의한 비생물학적인 이차적 환원보다는 미생물학적 기작에 의해 환원되었다고 추정된다. 수용액상의 Cr(VI)는 미생물 환원에 의해 독성이 낮은 고체 형태의 Cr(OH)3이나 Cr2O3 등으로 세포 표면에 침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 이는 이러한 미생물이 환경에 존재하여 오염된 수용액상의Cr(VI)을 고체상의 Cr(III)로 침전시켜 오염 농도 및 환경독성 을 줄일 수 있는 잠재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이 연구에서의 ferric-citrate는 이러한 금속환원세균이 사용하기 쉬운 혐기적 최종전자수용체로 사용될 수 있어서, 생물반응기(bioreactor) 등의 미생물의 인위적인 생장을 통한 오염물질 저감 및 환원 시스템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폐수처리 시설 등의 실제 현장 적용은 아니지만, Zheng et al.[21]은 영가의 철(zerovalent iron)에 코팅된 Fe(III)-환원 세균(Morganella sp.)을 이용하여 Cr(VI)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column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는 이러한 미생물에 의한 환원을 이용한 시스템이 Cr(VI)으로 오염된 폐수처리에 응용될 수 있는 잠재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Note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Gupta, N., Yadav, KK., Kumar, V., Krishnan, S., Kumar, S., Nejad, ZD., Majeed Khan, MA., & Alam,J.
((2021)).
Evaluating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soil and vegetables in the region of North India: Levels, transfer and potential human health risk analysis..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Pharmacology
82.
103563.
2. Chen, JM., & Hao,OJ.
((1998)).
Microbial Chromium (VI) reduction..
Critical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8.
219
- 251.
3. Dhal, B., Thatoi, HN., Das, NN., & Pandey,BD.
((2013)).
Chemical and microbial remediation of hexavalent chromium from contaminated soil and mining/metallurgical solid waste: A review..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50-251.
272
- 291.
4. Plestenjak, E., Kraigher, B., Leskovec, S., Mandic Mulec, I., Marković, S., Ščančar, J., & Milačič,R.
((2022)).
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using bacterial isolates and a microbial community enriched from tannery effluent...
Scientific Reports
12.
20197.
5. Lee, J-H., Kennedy, DW., Dohnalkova, A., Moore, DA., Nachimuthu, P., Reed, SB., & Fredrickson,JK.
((2011)).
Manganese sulfide formation via concomitant microbial manganese oxide and thiosulfate reduction..
Environmental Microbiology
13.
3275
- 3288.
6. Lee, J-H., Roh, Y., Kim, K-W., & Hur,H-G.
((2007)).
Organic acid-dependent iron mineral formation by a newly isolated iron-reducing bacterium, Shewanella sp. HN-41..
Geomicrobiology Journal
24.
31
- 41.
7. Fredrickson, JK., Romine, MF., Beliaev, AS., Auchtung, JM., Driscoll, ME., Gardner, TS., Nealson, KH., Osterman, AL., Pinchuk, G., & null,null.
((2008)).
Towards environmental systems biology of Shewanella..
Nature Reviews Microbiology
6.
592
- 603.
8. Peretyazhko, T., Zachara, JM., Heald, SM., Jeon, BH., Kukkadapu, RK., Liu, C., Moore, D., & Resch,CT.
((2008)).
Heterogeneous reduction of Tc(VII) by Fe(II) at the solid-water interfac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72.
1521
- 1539.
9. Ahmad, WA., Venil, CK., Nkhalambayausi Chirwa, EM., Wang, Y-T., Sani, MH., Samad, AFA., Kamaroddin, MFA., Donati, ER., Urbieta, MS., & null,null.
((2021)).
Bacterial reduction of Cr(VI): Operational challenges and feasibility..
Current Pollution Reports
7.
115
- 127.
10. Liu, C., Gorby, YA., Zachara, JM., Fredrickson, JK., & Brown,CF.
((2002)).
Reduction kinetics of Fe(III), Co(III), U(VI), Cr(VI), and Tc(VII) in cultures of dissimilatory metal-reducing bacteria..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80.
637
- 649.
11. Khanal, A., Hur, H-G., Fredrickson, JK., & Lee,J-H.
((2021)).
Direct and indirect reduction of Cr(VI) by fermentative Fe(III)-reducing Cellulomonas sp. strain Cellu-2a..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1.
1519
- 1525.
12. Stookey,LL.
((1970)).
Ferrozine - A new spectrophotometric reagent for iron..
Analytical Chemistry
42.
779
- 781.
13. Daulton, TL., Little, BJ., Jones-Meehan, J., Blom, DA., & Allard,LF.
((2007)).
Microbial reduction of chromium from the hexavalent to divalent stat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71.
556
- 565.
14. Nickens, KP., Patierno, SR., & Ceryak,S.
((2010)).
Chromium genotoxicity: A double-edged sword..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188.
276
- 288.
15. Aguilar-Barajas, E., Paluscio, E., Cervantes, C., & Rensing,C.
((2008)).
Expression of chromate resistance genes from Shewanella sp. strain ANA-3 in Escherichia coli..
FEMS Microbiology Letters
285.
97
- 100.
16. Peretyazhko, T., Zachara, JM., Heald, SM., Kukkadapu, RK., Liu, C., Plymale, AE., & Resch,CT.
((2008)).
Reduction of Tc(VII) by Fe(II) sorbed on Al (hydr)oxide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2.
5499
- 5506.
17. Hartshorne, RS., Reardon, CL., Ross, D., Nuester, J., Clarke, TA., Gates, AJ., Mills, PC., Fredrickson, JK., Zachara, JM., & null,null.
((2009)).
Characterization of an electron conduit between bacteria and the extracellular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22169
- 22174.
18. Belchik, SM., Kennedy, DW., Dohnalkova, AC., Wang, Y., Sevinc, PC., Wu, H., Lin, Y., Lu, HP., Fredrickson, JK., & null,null.
((2011)).
Extracellular 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by cytochromes MtrC and OmcA of Shewanella oneidensis MR-1..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7.
4035
- 4041.
19. Mohamed, A., Yu, L., Fang, Y., Ashry, N., Riahi, Y., Uddin, I., Dai, K., & Huang,Q.
((2020)).
Iron mineral-humic acid complex enhanced Cr(VI) reduction by Shewanella oneidensis MR-1..
Chemosphere
247.
125902.
20. Shi, L., Dong, H., Reguera, G., Beyenal, H., Lu, A., Liu, J., Yu, H-Q., & Fredrickson,JK.
((2016)).
Extracellular electron transfer mechanisms between microorganisms and mineral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4.
651
- 662.
21. Zheng, B., Ye, Y., Hu, B., Luo, C., & Zhu,Y.
((2019)).
Enhanced removal of chromium(vi) by Fe(iii)-reducing bacterium coated ZVI for wastewater treatment: batch and column experiments..
RSC Advances
9.
36144
- 36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