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및고찰
랜더링 가축사체 탄화체의 특성
랜더링 가축사체 탄화체의 특성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랜더링 가축사체 탄화체의 수율은 40.5% 정도로 열분해 과정동안 랜더링 가축사체 내에 존재하는 수분, 유지성분 및 단백질이 연소됨에 따라 수율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인 목질계 바이오매스 또한 열분해 과정동안 원재료 내에 잔여된 수분의 손실 및 유기물질의 탄화에 의해 수율이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11,12]. 순수 랜더링 가축사체의 pH는 6.84 이었던 것에 비해 350℃의 열분해 조건에서 제조된 RACR-C의 pH는 8.12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열분해 과정동안 가축사체 잔여물 내에 존재하는 무기성분의 응축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13]. 일반적으로 유기성 바이오매스의 열분해 과정동안 다량의 금속산화물과 수산화물이 생성되며, 이들은 탄화체의 pH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하여 제조된 탄화체의 탄소함량은 원재료에 비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실험에 사용된 RACRC의 경우 열분해 과정동안 탄소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식물 biomass와 동물 biomass의 탄소의 구성에 의한 차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 biomass의 경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으로 탄소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분해에 의해 탄소의 함량이 증가되어지나, 동물 biomass의 경우에는 열분해에 안정도가 떨어지는 단백질 및 지질과 같은 탄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분해 과정동안 쉽게 탄화된 것으로 판단된다[14,15]. 특히 랜더링된 가축사체 잔여물의 질소함량은 11.1%이었던 반면에 RACR-C는 7.2%로 약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랜더링 과정에서 수분과 유지를 추출하고 난 뒤 대부분의 구성은 단백질로 되어 있으며, 이들이 350℃의 열분해 온도에서 탄화됨에 따라 질소 또한 휘산되기 때문에 열분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RACR-C 내에 질소함량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원재료 및 RACR-C의 T-P 함량은 각각 2.91 및 6.29%으로 RACR-C가 원재료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랜더링 잔류물에는 다량의 사체 뼈가 그대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이 열분해에 의해 더욱더 응축됨에 따라 RACR-C 단위 g당 T-P의 함량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에 RACR-C 내에 양이온과 무기성분 함량 또한 원재료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랜더링된 가축사체 잔여물 내에 존재하는 무기성분은 열분해 과정동안 응축되어 RACR-C 내에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RACR-C 내에 Cd, Pb, As 및 Hg와 같은 유해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Cu 및 Zn은 일부 검출되기는 하였으나 그 함량은 비료공정규격에서 제시하는 농도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랜더링된 가축사체 탄화체는 일반적인 목질계 탄화체에 비해 다량의 질소 및인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개량을 위한 양분학적 가치는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랜더링 가축사체 탄화체로부터 수용성 비료성분의 용출 특성
본 실험은 제조된 RACR-C로부터 수용성으로 용출되는 비료성분 함량을 반응시간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1에서 보는 것과 같다. RACR-C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 비료성분은 반응 30분 이내에 용출되어졌으며, 각 성분별 용출되어지는 함량은 Av.P2O5 > K2O > N 순으로 높았다. 특히 RACR-C 내에 다량의 질소 및 인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성으로 용출되는 함량은 극히 제한적이었는데, 이는 대부분의 RACR-C 내에 질소 및 인이 비교적 물과의 반응에서 안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뼈에 존재하는 인산의 형태는 대부분 hydroxylapatite 형태로, 이는 물에 쉽게 녹지않는 불용성이라 보고되었다[16]. 이러한 측면에서 RACR-C는 토양개량제로 적용시 속효성 비료보다는 완효성 비료적인 역할이 매우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향후 다양한 유기산 및 토양환경 변이 조건에 대한 양분 용출특성 시험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랜더링 가축사체 탄화체에 의한 유작물의 비해시험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제조된 탄화체를 이용한 유작물 성장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다[17,18]. 과도한 탄화체의 적용은 pH의 증가와 토양 또는 상토에 대한 식물 이용 가능한 영양분의 과도한 공급으로 인해 어린 묘목에 독성학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랜더링 가축사체 기반 탄화체를 토양에 적용하여 유작물의 생육을 평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어 유용한 정보를 얻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CR-C를 기준량 및 배량으로 처리하여 유작물에 대한 비해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에서 보는 것과 같다. RACR-C 처리에 따른 시기별 유작물의 비해시험을 수행한 결과 5가지 작물 모두 어떠한 비해현상 없이 시기가 증가함에 따라 생육이 왕성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RACR-C의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작물의 생육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무의 경우 RACR-C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생육이 모두 왕성하였다. 이는 RACR-C의 처리에 의해 양분공급이 원활함과 동시에 뿌리근권의 신장을 위한 토양물리성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RACR-C는 어린작물에 대해 어떠한 비해를 입히지 않으며, RACR-C의 이화학적 및 구조적인 특성으로 토양 물리화학성이 개선됨에 따라 어린작물이 더욱 잘 성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랜더링 가축사체 탄화체의 시용량에 따른 배추의 생육특성, 무기성분 함량 및 토양화학성 변화
랜더링 가축사체 탄화체의 토양개량제로서 적정시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RACR-C의 시용량에 따른 배추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에서 보는 것과 같다. RACR-C의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추의 생육은 더욱 왕성하였고, RACR-C를 100 kg/10a만 처리한 처리구에서 생육 된 배추의 수량은 NPK를 처리한 처리구에서 생육된 배추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무처리구 배추의 생체중량은 1,234 g으로 저조한 반면에 NPK 처리구에서 배추의 생체중량은 3,168 g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2.5배 정도 높았다. RACR-C를 100 kg/10a을 처리하였을 때, 배추의 중량은 2,914 g로 NPK 처리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RACR-C의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추의 중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RACR-C의 처리량이 10a당 200 및 400 kg일 때, 생체중량은 각각 3,647 및 3,681 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Etiegni 등[19]의 연구에서는 토양에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탄화체를 0, 2, 4, 8, 16 및 32%로 수준별로 처리하였을 때 밀의 수량이 2%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처리량에서는 감소하였다고 평가하였는데, 일정량 이상의 처리는 작물의 수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Mtisi와 Gwenzi[20]는 탄화체를 많이 시용한 토양에서 미생물의 활동성이 저하되고, 식물에 전달될 수 있는 양분이 고정화되어 식물의 성장이 저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최근 많은 연구자들은 바이오차의 농경지 적용을 위한 적정 시비량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는데, 바이오차의 양에 따라 작물 생산성이 높아지는 반면, 바이오차의 과도한 시용은 작물의 생장을 억제/방해한다고 보고하였다[21-23].
또한, RACR-C 처리에 따른 배추 뿌리의 생육은 NPK 처리구보다 향상되었는데, 이는 RACR-C 처리됨에 따라 토양 물리성이 향상되어 뿌리의 생육을 조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RACR-C는 토양개량제로 활용이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배추의 생육조사에 기반하여 RACR-C의 최적 시비량은 10a당 200 kg인 것으로 판단된다.
RACR-C 처리량에 따른 배추의 무기성분 함량은 Table 5에 나타내었다. T-N의 경우 무처리가 2.13%인 것에 비해 NPK 처리구내 배추의 T-N 함량은 1.95%으로 무처리에 비해 낮았다. 하지만 각 무처리구 및 NPK 처리구내 배추의 T-N 함량과 건물중량을 고려할 때, 전반적인 T-N의 흡수량은 NPK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더 높았다. 특히, RACR-C의 처리에 따른 T-N의 함량은 무처리 및 NPK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RACR-C의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T-P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이는 무처리 및 NPK의 처리구에서 생육된 배추에 비해 높았다.
RACR-C 처리량에 따른 배추재배지의 토양화학성 변화는 Table 6에서 보는 것과 같다. 토양 pH는 RACR-C가 포함된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EC의 경우는 RACR-C 포함된 처리구에 무처리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Park 등[24]의 보고에 따르면, 가축사체 바이오차 시용후 옥수수 재배지 토양내에 pH 및 EC의 함량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유기물, 질소 및 유효인산의 함량 또한 무처리구에 비해 RACR-C가 처리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다. 특히, 유기물 함량의 경우 NPK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으나, RACR-C 처리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RACR-C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RACR-C 처리에 따른 토양내 K, Ca, Mg 및 Na와 같은 양이온 교환에 대한 유의적인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랜더링 가축사체를 열분해하여 탄화체를 제조하는 것은 랜더링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자원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제조된 탄화체는 다량의 무기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개량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Note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Kang, Y., Shen, X., Yuan, R., Xiang, B., Fang, Z., Murphy, RW., Liao, M., Shen, Y., & Ren,T.
((2018)).
Pathogenicity and transmissibility of three avian influenza A (H5N6) viruses isolated from wild birds..
Journal of Infection
76.
286
- 294.
2. Ki, BM., Kim, YM., Jeon, JM., Ryu, HW., & Cho,KS.
((2018)).
Characterization of odor emissions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during degradation of pig carcasses using the soil burial-composting method..
Waste Management
77.
30
- 42.
3. Kim, G., & Pramanik,S.
((2016)).
Biosecurity procedures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carcasses burial site in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38.
1229
- 1240.
4. Chowdhury, S., Kim, GH., Bolan, N., & Longhurst,P.
((2019)).
A critical review on risk evaluation and hazardous management in carcass burial..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123.
272
- 288.
5.
((2018)).
Avian influenza (infection with avian influenza viruses): Manual of diagnostic tests and vaccines for terrestrial animals..
24.
6. Zhang, Z., & Ji,J.
((2015)).
Waste pig carcasses as a renewable resource for production of biofuels..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3.
204
- 209.
7. Yang, C., Wang, S., Ren, M., Li, Y., & Song,W.
((2019)).
Hydrothermal liquefaction of an animal carcass for biocrude oil..
Energy & Fuels
33.
11308
- 11309.
8. Pandey, PK., Biswas, S., & Kass,P.
((2016)).
Microbial pathogen quality criteria of rendered product..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00.
5247
- 5255.
9. Hong, SC., Yu, SY., Kim, KS., Lee, GH., & Song,SN.
((2020)).
Effect of biochar on early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vegetable seedl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9.
50
- 57.
10. Lee, SI., Kang, SS., Choi, EJ., Gwon, HS., Lee, HS., Lee, JM., Lim, SS., & Choi,WJ.
((2021)).
Soil carbon storage in upland soils by biochar application in East Asi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40.
219
- 230.
11. Li, H., Dong, X., da Silva, EB., de Oliveira, LM., Chen, Y., & Ma,LQ.
((2017)).
Mechanisms of metal adsorption by biochar: Biochar characteristics and modifications..
Chemosphere
178.
466
- 478.
12. Ahmad, M., Rajapaksha, AU., Lim, JE., Zhang, M., Bolan, N., Mohan, D., Vithanage, M., Lee, SS., & Ok,YS.
((2014)).
Biochar as a sorbent for contaminant management in soil and water: A review..
Chemosphere
99.
19
- 23.
13. Kim, WK., Shim, T., Kim, YS., Hyun, S., Ryu, C., Park, YK., & Jung,J.
((2013)).
Characterization of cadmium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by biochar produced from giant Miscanthus at different pyrolytic temperatures..
Bioresource Technology
138.
266
- 270.
14. Wei, S., Zhu, M., Fan, X., Song, J., Peng, P., Li, K., Jia, W., & Song,H.
((2019)).
Influence of pyrolysis temperature and feedstock on carbon fractions of biochar produced from pyrolysis of rice, pine wood, pig manure and sewage sludge..
Chemosphere
218.
624
- 631.
15. Ma, Z., Yang, Y., Wu, Y., Xu, J., Peng, H., Liu, X., Zhang, W., & Wang,S.
((2019)).
In-depth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iochar derived from biomass pseudo components: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ignin..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140.
195
- 204.
16. Piccirillo, C., Pereira, SIA., Marques, APGC., Pullar, RC., Tobaldi, DM., Pintado, ME., & Castro,PML.
((2013)).
Bacteria immobilisation on hydroxyapatite surface for heavy metals removal..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21.
87
- 95.
17. Buss, W., Graham, MC., Shepherd, JG., & Mašek,O.
((2016)).
Risk and benefits of marginal biomass-derived biochars for plant growth..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69-570.
496
- 506.
18. Das, SK., Ghosh, GK., & Avasthe,R.
((2020)).
Evaluation biomass-derived biochar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maize and black gram..
Biomass Conversion and Biorefinery
12.
5663
- 5676.
19. Etiegni, L., Campbell, AG., & Mahler,RL.
((1991)).
Evaluation of wood ash disposal on agricultural land. I. Potential as a soil additive and liming agent..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22.
243
- 256.
20. Mtisi, M., & Gwenzi,W.
((2019)).
Evaluation of the phytotoxicity of coal ash on lettuce (Lactuca sativa L.) germination, growth and metal uptake..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170.
750
- 762.
21. Kang, SW., Yun, JJ., Park, JH., & Cho,JS.
((2021)).
Exploring suitable biochar application rates with compost to improve upland field environment..
Agronomy
11.
1136.
22. Schmidt, HP., Kammann, C., Hagemann, N., Leifeld, J., Bucheli, TD., Monedero, MAS., & Cayuela,ML.
((2021)).
Biochar in agriculture – A systematic review of 26 global meta-analyses..
GCB Bioenergy
13.
1708
- 1730.
23. Xie, Y., Dong, C., Chen, Z., Liu, Y., Zhang, Y., Gou, P., Zhao, X., Ma, D., Kang, G., & null,null.
((2021)).
Successive biochar amendment affected crop yield by regulating soil nitrogen functional microbes in wheat-maize rotation farmland..
Environmental Research
194.
110671.
24. Park, JH., Yun, JJ., Cho, HN., Lee, SG., Kim, SH., Cho, JS., & Kang,SW.
((2021)).
Effect of soil amendments derived from agricultural biomass to improve corn growth and soil fertility in an upland field..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4.
478
-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