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및방법
시험 포장 및 기상 조건
본 연구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시험포장(35°49′45.5"N, 127°02′39.8"E)에서 수행되었다. 시험 포장의 토양은 개간된 사양토로, 이화학적 특성은 토양산도(pH) 6.5, 총 탄소(T-C, Total Carbon) 3.73 g/kg, 총 질소(T-N, Total Nitrogen) 0.36 g/kg이었다. 실험은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으며, 바이오차 투입량은 대조구(0 ton/ha), B1(1 ton/ha), B3(3 ton/ha), B5(5 ton/ha)로 설정하여 작물 재배 1주일 전 각각 투입하였다.
배추는 질소비료를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로, 실험은 2022년 가을과 2023년 봄 두 계절에 걸쳐 수행되었다. 가을과 봄 재배동안 왕겨 바이오차와 비료는 같은 반복 처리구에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휴경기 동안 시험 포장은 제초 등의 기본 관리 작업을 통해 실험 조건을 유지하였으며, 이러한 관리 방법은 대조구와 바이오차 처리구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가을 실험에서는 ‘청고마비’ 품종을, 봄 실험에서는 ‘진청’ 품종을 사용하였다. 가을배추의 재배기간은 2022년 9월 13일부터 11월 23일까지였으며, 봄배추의 재배기간은 2023년 4월 7일부터 6월 12일까지였다. 재식거리는 이랑 간 75cm, 포기 간 45cm로 설정하였고, 비료 투입량은 농촌진흥청의 표준시비량 기준에 따라 N-P2O5-K2O 32-7.8-19.8 kg/10a로 적용하였다. 웃거름은 정식 후 30일과 45일에 두 차례 나누어 투입하였다. 휴경 기간 동안 시험 포장에는 잡초 제거와 같은 기본적인 관리를 수행하였다.
가을배추 재배기간의 기상자료는 9월부터 11월까지 수집하였으며, Fig. 1과 같다. 9월 중순의 기온은 25.3℃로 지난 10년 평균인 평년보다 3.9℃ 높았으나, 9월 하순부터 11월 초순까지는 평균보다 0.4℃에서 1.5℃ 낮았다. 10월 초순에는 강수량이 42.0 mm에 달했다. 봄배추 재배기간의 기상자료는 4월부터 6월까지 수집하였으며, 재배기간 동안 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다소 낮았고, 5월에는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4월 초순의 평균 기온은 9.1℃로 평년보다 1.6℃ 낮았으나, 4월 중순에는 14.5℃로 평년보다 2.0℃ 높았다. 이후 기온은 평년과 1℃ 이하의 차이를 보였다. 5월 초순과 하순에는 각각 84.0 mm와 140.0 mm의 강수량이 기록되었으며, 이러한 기상 조건에 따라 토양의 온도와 수분함량 또한 변화가 있었다(Fig. 1).
시험 토양 및 바이오차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은 토양 화학분석법(NIAS, 2000)에 준하여 수행했다. pH는 토양과 증류수를 1:5(W/V)로 혼합하고 30분간 교반한 후 pH 측정기(S230 Mettler Toledo,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C 및 T-N은 원소분석기(Vario Max CN, Elementar, Germany)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유효인산은 Lancaster법(UV2550PC, Pekinelmer, USA)을 이용하였고, NH4+는 Indophenol-Blue 비색법을 이용하였고, NO3‒는 Brucine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N-NH4OAc 용액으로 추출한 후 ICP (ICPE-900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CEC)과 치환성 양이온을 분석하였다.
실험 전 토양 pH는 대조구에서 7.8로 가장 높았고 B1이 7.6으로 가장 낮았다. EC는 대조구에서 0.24 dS/m로 가장 높았고 B3에서 0.21 dS/m로 가장 낮았다. T-C 함량은 B1에서 4.85 g/kg으로 가장 높았고 B5에서 3.42 g/kg으로 가장 낮았다. T-N 함량은 B1에서 0.45 g/kg으로 가장 높았고 B3에서 0.33 g/kg으로 가장 낮았다. CEC에서 K+는 B1에서 0.33 cmol+/kg으로 가장 높았으며, B3에서 0.18 cmol+/kg으로 가장 낮았다. Ca2+는 B3에서 9.97 cmol+/kg으로 가장 높았으며, B1에서 8.21 cmol+/kg으로 가장 낮았다. Mg2+는 대조구에서 4.60 cmol+/kg으로 가장 높았으며, B3에서 4.08 cmol+/kg으로 가장 낮았다. 유효인산을 분석한 결과 B1에서 310.1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3에서 249.6 mg/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1).
바이오차는 왕겨를 원료로 사용하여 수거와 건조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충청남도 예산에 위치한 바이오차 제조 공장에서 약 500℃의 상향식 통풍형 열분해 방법(Top Lit Up Draft, TLUD)을 통해 탄화로에서 열분해하여 제조하였다. 왕겨 바이오차의 pH는 바이오차와 증류수를 1:10(W/V)의 비율로 혼합하고 30분간 교반한 후 토양분석과 동일한 pH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왕겨 바이오차의 주요 원소 분석으로 N, C, Hydrogen(H)은 Vario MACRO cube (Elementar, Germany)로 분석하였다, Oxygen(O)의 경우 Hand Sand Flash 2000 (Thermo Fisher, Italy)로 분석하였다. 바이오차는 H/C 비율 0.7 이하, O/C 비율 0.4 이하의 경우 미생물 분해의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European Biochar Certificate, EBC). 또한 국제바이오차협회(International Biochar Initiative, IBI)에서 100년 이상 토양 내 탄소 격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하는 비율은 0.7 이하이다. 본 시험의 공시 바이오차 H/C 비율은 0.21이며, O/C 비율은 각각 0.05로 나타났다(Table 2).
온실가스 포집 및 분석 방법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산정하기 위해 CO2와 N2O 측정은 밀폐 형태 챔버인 Non-steady-state를 사용하였고[18,19], 온실가스 포집 시 챔버는 외부로의 공기 유출이 없도록 하였다. 밀폐형 챔버는 지름이 24 cm, 높이가 37 cm인 PVC 소재로 각 시험구의 대표 지점의 토양에 9cm 깊이로 배추 작물의 뿌리 활착의 저해를 최소화되도록 설치하였다. 가스 시료 채취 및 측정은 토양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24시간 중 평균 배출 시간대인 오전 10~12시 사이에 휴대용 FTIR 복합 가스 측정기(GT 5000, Gasmet Technologies Oy, Helsinki, Finland)로 측정하였으며, FTIR 복합 가스 측정기는 20초 간격으로 CO2, N2O 등 온실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실가스 포집 전 챔버에서 자라나는 잡초를 모두 제거한 후 밀폐시켜 각 처리구마다 밀폐 후 0분, 20분, 40분의 측정값을 추출하여 배출량 산정식인 Eq. (1)에 적용하여 CO2와 N2O efflux의 하루 배출량과 주 2회 측정으로 재배기간 누적 배출량을 산정하였다[20]. 온실가스를 채취하지 않는 기간은 챔버 뚜껑을 닫지 않아 챔버 내부로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하였다.
여기서, ρ는 기체밀도(CO2의 밀도는 1.842 mg/cm, N2O의 밀도는 1.976 mg/cm), V는 챔버 부피(m3), A는 챔버 표면적(m2), ΔC/Δt는 챔버 내 단위시간당 CO2 및 N2O 증가 농도(mg/m3/day), T는 대기 온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누적 발생량은 Σ(R×D)을 이용하여 재배기간 동안 총 CO2와 N2O efflux를 계산하였다. 이때 R은 하루 동안 CO2 및 N2O 발생량(mg/m2/day)이며, D는 시료 채취 공백 기간을 나타낸다.
토양 탄소 수지(Net Ecosystem Carbon Balance, NECB)
토양 농경지 토양 탄소 수지는 NECB 기법은 Eq. (2)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21,22].
C input은 탄소 유입량이며 비료, 바이오차, 작물 잔여물 및 기타를 유기물로부터의 총 탄소를 말한다. C output은 탄소 배출량이며 토양 호흡(CO2 배출), 수확 및 기타 손실로 인한 총 탄소 배출량을 말한다.
지구온난화 지수 총합(Total GWP), 순 온난화 잠재력(Net GWP)
지구온난화 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는 특정 온실가스가 대기 중에 머무는 기간 동안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CO2와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표현한 값이다. 현재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적용하는 GWP는 2013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5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된 GWP를 활용하며, N2O와 메탄(CH4, Methane)은 각각 265, 28의 값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Total GWP는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인 CO2, N2O, CH4의 배출량을 Eq. (3)에 적용하여 산정하였다[23,24]. 다만 CH4의 경우 담수된 논에서 배출되며, 밭 조건에서는 거의 배출되지 않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CH4 배출량을 포함하지 않았다.
순 온난화 잠재력(Net GWP)는 N2O 배출량을 지구온난화지수 전환한 값에 CO2 배출량이 반영된 NECB에 의해 격리된 탄소를 빼서 계산하며, Eq. (4)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25,26].
여기서 44/12는 탄소(C)를 CO2로 변환하는 계수이다. 탄소가 CO2로 변환될 때, 한 분자의 CO2는 한 분자의 탄소 원자와 두 분자의 산소 원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 변환이 필요하다.
통계분석
농경지에서 왕겨 바이오차 투입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는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처리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F-test 값이 p<0.05의 범위에서 유의한 경우에만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토양 내 무기태질소 함량 변화
가을배추 재배기간 동안 토양 내 암모늄태질소(NH4+-N) 변화는 재배 초기 3.82~19.4 mg/kg으로 농도가 높았으며, 대조구, B1, B5, B3 처리구 순으로 농도가 높았다. 이후 농도가 낮아졌으며, 11월 상순부터 다시 농도가 증가하였다. 토양 내 질산태질소(NO3‒-N) 변화는 재배 초기 7.21~22.80 mg/kg으로 농도가 높았으며, 대조구, B5, B1, B3 처리구 순으로 농도가 높았다. 이후 전체적으로 높게 유지되었으며, 이후 낮아졌다. 10월 말부터 농도는 다시 높아졌으며, 평균적으로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 봄배추 재배기간 동안 토양 내 암모늄태질소(NH4+-N) 변화는 4월 중순부터 2.61~15.82 mg/kg으로 높았으며, 5월 초순까지 1.56~12.46 mg/kg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토양 내 질산태질소(NO3‒-N)는 가을배추 재배기간 대비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4월 말과 5월 초에 291.7~535.8 mg/kg으로 높았으며,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Fig. 2).
배추 수확량
가을배추와 재배기간 동안 생육은 정식 82일 후 수확하였고 지상부 생체중은 대조구, B1, B3, B5 처리구에서 각각 2.70, 2.58, 2.52, 2.40 kg/plant이며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처리구별 수확한 지상부 생체중의 수분함량은 91.0~91.3%였다. 봄배추는 정식 65일 후 수확하였고 생체중 기준 1구당 대조구에서 3.02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B1, B3, B5 처리구 각각 2.68, 2.95, 2.82 kg이며,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시기별 온실가스 배출량
재배기간 동안 시기별 CO2와 N2O 배출량 Fig. 3과 같다. CO2의 경우 가을배추 재배기간 동안 토양 호흡을 통한 CO2 배출량은 10월 중순까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5.38~10.92 g/m2·day의 범위로 배출되었고 대기 평균온도가 20℃ 이하로 내려가는 기간부터 CO2 배출량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봄배추 재배기간 동안 CO2 배출량은 정식 직후 2.24~4.20 g/m2·day의 범위로 증가하였고 4월 중순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4월 중순 이후 대기 온도는 15℃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그에 상응하게 CO2 배출량도 4.23~6.32 g/m2·day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N2O의 경우, 가을배추 재배기간 동안 재배 초기 1.69~5.09 mg/m2·day의 범위로 높게 배출되었으며, 웃거름 투입 시기에도 N2O 배출량은 증가하였다. 봄배추 재배기간 동안 N2O 배출량은 5월 초까지 전체적으로 2 mg/m2·day 이하로 배출되었지만, 5월 말 웃거름이 투입되고 대기 온도가 20℃ 이상 증가할 때 대조구에서 11.2 mg/m2·day이 배출되고 바이오차 투입 처리구에서는 8.24~9.83 mg/m2·day의 범위로 배출되었다(Fig. 3).
온실가스 누적 배출량
가을배추 재배기간 처리구별 누적 CO2 배출량은 대조구, B1, B3, B5에서 각각 3.28, 3.23, 3.29, 3.73 t/ha로 나타났다. 누적 N2O 배출량은 대조구, B1, B3, B5에서 각각 1.32, 1.28, 0.99, 0.78 kg/ha로 나타났다. 바이오차 투입량에 비례하여 배출량은 감소하였으며, 대조구 대비 B1, B3, B5 처리구에서 각각 2.9, 25.4, 41.1%로 N2O 배출량이 감소하였다. 봄배추 재배기간 처리구별 누적 CO2 배출량은 대조구, B1, B3, B5에서 각각 1.30, 1.34, 1.45, 1.68 t/ha로 나타났다. 누적 N2O 배출량은 대조구, B1, B3, B5에서 각각 1.28, 1.07, 0.94, 1.09 kg/ha로 나타났다(Table 3). 바이오차를 3 t/ha 투입 시 대조구 대비 26.5%까지 배출량은 감소하였다.
농경지 토양 탄소 수지(NECB)
가을배추 재배기간의 NECB는 대조구에서 1.96 t/ha, B1에서 2.58 t/ha, B3에서 3.65 t/ha, B5에서 4.58 t/ha로 나타났다. 바이오차 투입량에 비례하여 토양 탄소 수지는 증가하였으며, 대조구 대비 B1, B3, B5 처리구에서 각각 0.62, 1.69, 2.70 t/ha 증가하였다. 봄배추 재배기간의 NECB는 Control, B1, B3, B5에서 각각 2.49, 3.03, 4.13, 5.19 t/ha로 나타났다(Table 3). 바이오차 투입량에 비례하여 토양 탄소 수지는 증가하였으며, 대조구 대비 B1, B3, B5 처리구에서 각각 0.54, 1.64, 2.70 t/ha 증가하였다.
Total GWP
가을배추 재배기간 동안 CO2 배출을 포함한 Total GWP는 가을배추 대조구에서 3.63 t/ha, B1에서 3.57 t/ha, B3에서 3.55 t/ha, B5에서 3.93 t/ha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차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Total GWP가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봄배추 재배기간 동안 CO2 배출을 포함한 Total GWP는 대조구와 B1에서 1.63 t/ha, B3에서 1.69 t/ha, B5에서 1.97 t/ha로 나타났다. 봄배추에서 바이오차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Total GWP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et GWP
가을배추 재배기간 동안 CO2 배출을 포함한 Net GWP는 바이오차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Net GWP가 감소하여, 대조구에서 –6.84 t/ha, B1에서 -9.12 t/ha, B3에서 -13.12 t/ha, B5에서 -16.59 t/ha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차가 토양 내 탄소 격리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봄배추 재배기간 동안 Net GWP는 대조구에서 -8.80 t/ha, B1에서 -10.84 t/ha, B3에서 -14.91 t/ha, B5에서 -18.74 t/ha로 탄소 흡수 효과가 증진하였다(Table 3).
References
1. Gomiero,T.
((2016)).
Soil degradation, land scarcity and food security: Reviewing a complex challenge..
Sustainability
8.
281.
2. Liu, Q., Meki, K., Zheng, H., Yuan, Y., Shao, M., Luo, X., & Xing,B.
((2023)).
Biochar application in remediating salt-affected soil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abate climate change..
Biochar
5.
45.
3. Manzoni, S., Taylor, P., Richter, A., Porporato, A., & Ågren,GI.
((2012)).
Environmental and stoichiometric controls on microbial carbon-use efficiency in soils..
New Phytologist
196.
79
- 91.
4. Yu, H., Zou, W., Chen, J., Chen, H., Yu, Z., Huang, J., Tang, H., Wei, X., & Gao,B.
((2019)).
Biochar amendment improves crop production in problem soils: A review..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32.
8
- 21.
5. Weber, K., & Quicker,P.
((2018)).
Properties of biochar..
Fuel
217.
240
- 261.
6. Wu, H., Qi, Y., Dong, L., Zhao, X., & Liu,H.
((2019)).
Revealing the impact of pyrolysis temperature on dissolved organic matter released from the biochar prepared from Typha orientalis..
Chemosphere
228.
264
- 270.
7. Hussain, M., Farooq, M., Nawaz, A., Al-Sadi, AM., Solaiman, ZM., Alghamdi, SS., Ammara, U., Ok, YS., & Siddique,KHM.
((2017)).
Biochar for crop production: Potential benefits and risks..
Journal of Soils and Sediments
17.
685
- 716.
8. Ramamoorthy, K., Mary, PCN., Bose, KSC., Karthikeyan, B., & Manivelan,K.
((2024)).
Effect of biochar on soil health and crop productivity: A review..
Agricultural Reviews
45.
121
- 126.
9. Wijitkosum, S., & Sriburi,T.
((2018)).
Increasing the amount of biomass from field crops for carbon sequestration and plant biomass enhancement using biochar, in: Abrol V, Sharma P, Biochar – An Imperative Amendment for Soil and the Environment..
35
- 54.
10. Dai, Y., Wang, W., Lu, L., Yan, L., & Yu,D.
((2020)).
Utilization of biochar for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57.
120573.
11. Asadi, H., Ghorbani, M., Rezaei-Rashti, M., Abrishamkesh, S., Amirahmadi, E., Chen, C., & Gorji,M.
((2021)).
Application of rice husk biochar for achieving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Rice Science
28.
325
- 343.
12. Qambrani, NA., Rahman, MM., Won, S., Shim, S., & Ra,C.
((2017)).
Biochar properties and eco-friendly ap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waste management, and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79.
255
- 273.
13. Park, SH., Jang, SW., & Choi,SK.
((2020)).
Developing double-haploid inbred lines of ‘Wonkyo20051ho’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characterized by formation of tight head at low temperatures..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52.
41
- 52.
14. Bisbis, MB., Gruda, N., & Blanke,M.
((2018)).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vegetable production and product quality–A review..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70.
1602
- 1620.
15. Warland, J., McKeown, AW., & McDonald,MR.
((2006)).
Impact of high air temperatures on Brassicacae crops in southern Ontario..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86.
1209
- 1215.
16. Chun, JH., Kang, YG., Lee, JH., Yun, YU., Oh, TK., & Yoon,MH.
((2022)).
The combined effect of nitrogen and biochar amendments on the yield and glucosinolate contents of the Chinese cabbage..
Journal of King Saud University-Science
34.
101799.
17. da Silva, ALBR., Candian, JS., do Rego, ER., Coolong, T., & Dutta,B.
((2020)).
Screening cabbage cultivars for resistance to black rot under field conditions..
HortTechnology
30.
448
- 455.
18. Livingston, GP., Hutchinson, GL., & Spartalian,K.
((2006)).
Trace gas emission in chambers: A non-steady-state diffusion mode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70.
1459
- 1469.
19. de Klein, CA., Harvey, MJ., Clough, TJ., Petersen, SO., Chadwick, DR., & Venterea,RT.
((2020)).
Global Research Alliance N2O chamber methodology guidelines: Introduction, with health and safety considera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49.
1073
- 1080.
20. Park, DG., Jeong, HC., Jang, EB., Lee, JM., Lee, HS., Park, HR., Lee, SI., & Oh,TK.
((2024)).
Effect of rice hull biochar treatment on net ecosystem carbon budget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hinese cabbage cultivation on infertile soil..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67.
44.
21. Qi, L., Pokharel, P., Chang, SX., Zhou, P., Niu, H., He, X., Wang, Z., & Gao,M.
((2020)).
Biochar application increased methane emission, soil carbon storage and net ecosystem carbon budget in a 2-year vegetable–rice rotation..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292.
106831.
22. Guo, R., Qian, R., Naseer, MA., Han, F., Zhang, P., Jia, Z., Chen, X., & Ren,X.
((2024)).
Integrated straw-derived biochar utilization to increase net ecosystem carbon budget and economic benefit and reduce the environmental footprint..
Field Crops Research
307.
109247.
23. Kitamura, R., Sugiyama, C., Yasuda, K., Nagatake, A., Yuan, Y., Du, J., Yamaki, N., Taira, K., Kawai, M., & null,null.
((2021)).
Effects of three types of organic fertilizer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 grassland on andosol in southern Hokkaido, Japan..
Frontiers in Sustainable Food Systems
5.
649613.
24. Sainju, UM., Barsotti, JL., & Wang,J.
((2014)).
Net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greenhouse gas intensity affected by cropping sequence and nitrogen fertilization..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78.
248
- 261.
25. Ma, YC., Kong, XW., Yang, B., Zhang, XL., Yan, XY., Yang, JC., & Xiong,ZQ.
((2013)).
Net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greenhouse gas intensity of annual rice–wheat rotations with integrated soil–crop system management..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64.
209
- 219.
26. Hwang, HY., Kim, GW., Kim, SY., Haque, MM., Khan, MI., & Kim,PJ.
((2017)).
Effect of cover cropping on the net global warming potential of rice paddy soil..
Geoderma
292.
49
- 58.
27. Yan, G., Mu, C., Xing, Y., & Wang,Q.
((2018)).
Responses and mechanisms of soil greenhouse gas fluxes to changes in precipitation intensity and duration: a meta-analysis for a global perspective..
Canadian Journal of Soil Science
98.
591
- 603.
28. Pokharel, P., Ma, Z., & Chang,SX.
((2020)).
Biochar increases soil microbial biomass with changes in extra-and in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A global meta-analysis..
Biochar
2.
65
- 79.
29. Atilano-Camino, MM., Canizales Laborin, AP., Ortega Juarez, AM., Valenzuela Cantú, AK., & Pat-Espadas,AM.
((2022)).
Impact of soil amendment with biochar on greenhouse gases emissions, metals availability and microbial activity: A meta-analysis..
Sustainability
14.
15648.
30. Han, B., Yao, Y., Liu, B., Wang, Y., Su, X., Ma, L., Liu, D., Niu, S., Chen, X., & null,null.
((2024)).
Relative importance between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o N2O from a global perspective..
Global Change Biology
30.
e17082.
31. Lee, JM., Park, DG., Kang, SS., Choi, EJ., Gwon, HS., Lee, HS., & Lee,SI.
((2022)).
Short-term effect of biochar on soil organic carbon improvement and nitrous oxide emission reduction according to different soil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al land: A laboratory experiment..
Agronomy
12.
1879.
32. Zhang, L., Jing, Y., Chen, C., Xiang, Y., Rezaei Rashti, M., Li, Y., Deng, Q., & Zhang,R.
((2021)).
Effects of biochar application on soil nitrogen transformation, microbial functional genes, enzyme activity, and plant nitrogen uptake: A meta‐analysis of field studies..
GCB Bioenergy
13.
1859
- 1873.
33. Zhou, R., El-Naggar, A., Li, Y., Cai, Y., & Chang,SX.
((2021)).
Converting rice husk to biochar reduces bamboo soil N2O emissions under different forms and rates of nitrogen addition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8.
28777
- 28788.
34. Saggar, S., Jha, N., Deslippe, J., Bolan, NS., Luo, J., Giltrap, DL., Kim, DG., Zaman, M., & Tillman,RW.
((2013)).
Denitrification and N2O: N2 production in temperate grasslands: Processes, measurements, modelling and mitigating negative impac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65.
173
- 195.
35. Gross, A., Bromm, T., & Glaser,B.
((2021)).
Soil organic carbon sequestration after biochar application: a global meta-analysis..
Agronomy
11.
2474.
36. Kang, SW., Yun, JJ., Park, JH., & Cho,JS.
((2021)).
Exploring suitable biochar application rates with compost to improve upland field environment..
Agronomy
11.
1136.
37. Wu, Z., Zhang, X., Dong, Y., Li, B., & Xiong,Z.
((2019)).
Biochar amendment reduced greenhouse gas intensities in the rice-wheat rotation system: Six-year field observation and meta-analysi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78.
107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