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및고찰
식물공장 조건에서 광원을 LEDs, HPS 및 MH 등으로 달리하였을 때 조사한 광원에 따라 ‘CF Jelly’ 방울토마토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은 다소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재배개시 5주차부터 재배종료 시까지 광원의 차이는 줄기 직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줄기 직경은 LEDs 조사구에 비해 HPS와 MH조사구에서 각각 18% 및 11%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광원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HPS과 MH 조사구에서의 초장은 LEDs 조사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여 재배 종료일에는 LEDs 조사구에 비해 24% 이상 신장하였다(Table 1). 토마토 재배 초기의 화방수는 광원 간 현저한 차이가 없었으나, 재배종료 시에는 HPS 조사구의 화방수가 LEDs와 MH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았다. 엽 내 색소합성능에 미치는 조사 광원의 영향을 살펴보면, LEDs나 HPS 하에서 재배한 방울토마토 엽의 SPAD치가 MH 조사구에 비해 5%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광원에 따른 토마토 재배시기 별 과실 수확량 변화는 Fig. 2와 같다. 조사 광원 중 LEDs 조사구는 재배기간 동안 다른 광원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수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재배 초기의 수량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처리구에 비해 MH 조사구의 수량은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였으나 다른 광원에 비해 총 수량은 적었다. 재배기간 동안 총 수확량은 LEDs 조사구 > HPS 조사구 > MH 조사구 순으로 수확량이 증가하였으며, LEDs 조사구의 수량은 MH 조사구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과실수뿐만 아니라 평균 과중 역시 MH 조사구에 비해 수확량이 높았던 LEDs나 HPS 조사구에서 증가하였다. 재배종료 시 과중은 MH 조사구에 비해 28% 증가하였으며, 과중 증가에 있어 LEDs나 HPS 조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Fig. 3). 과실의 형태를 나타내는 과형지수는 수확 초기인 58일째에는 MH 조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다른 조사구에 비해 과실의 상하 길이가 길어지는 형태가 관찰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광원에 따른 과형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재배종료 시 HPS 조사구의 과실 당도는 9.9 °Brix 로서 LEDs나 MH 조사구의 9.2와 9.3 °Brix에 비해 약 8% 증가하였다(Table 1).
재배기간 동안 수확한 과실을 대상으로 배꼽썩음병 발생률을 산출한 결과, HPS 조사구의 배꼽썩음병 발생률은 LEDs나 MH 조사구에 비해 24% 가량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4).
Fig. 1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 이용된 LEDs, HPS 및 MH 광원은 상이한 파장역, 즉 광질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광질 차이가 식물공장 조건에서 재배한 ‘CF Jelly’ 방울토마토의 줄기 신장, 착과나 당합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인공광 식물공장 조건에서 시험기간 동안 방울토마토를 12회 수확할 수 있었으며, 줄기 직경 비대에는 HPS나 MH 광원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나 두 광원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작물 초장 신장이나 화방수 또한 HPS 또는 MH 하에서 재배한 방울토마토에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생식생장 측면에서 과실 발달 및 수확량는 HPS 또는 MH 조사구에 비해 LEDs 조사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인공광 식물공장 조건에서 430-470 nm의 청색과 630-670 nm의 적색 광질은 작물의 양적생장을 촉진시키는 광질로 알려져 있는데, 청색보다는 적색광질 하에서 생장촉진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18]. 또한 청색과 적색의 혼합광질을 조사한 경우에도 적색광의 비율이 높을수록 작물의 양적생장이 촉진된다는 보고들을 고려할 때 작물의 생장과 발달을 위해서는 청색과 적색광질의 혼합비율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4,7,12,13,15]. Zha 등 [36]의 연구에 의하면 청색과 적색광질의 혼합 비율을 제어한 결과 적색광질 비율이 높을 경우 엽채류 생장, 물질합성을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엽채류 이외에 과채류인 방울토마토를 식물재료로 한 광질제어 연구에서도 혼광광질을 조사할 경우 청색과 대비 적색광질의 혼합비율이 높을 경우 육묘기간 동안 실생묘의 생장이나 정식후 과실 수확량을 촉진하는 등 적색광질의 생장촉진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4,27,37]. 인공광 또는 자연광 재배 시설에서 청색 대비 적색광질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작물 육묘나 재배기간 동안 엽채류나 과채류의 영양이나 생식생장을 촉진시킨다[24,30]. 상기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본 시험조건에는 비록 적색광질 비율 제어 효과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으나 청색광 대비 적색광질의 비율을 1:9로 최대로 하여 조사한 것이 ‘CF Jelly’ 방울토마토의 생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기간 동안 HPS나 MH는 LEDs에 비해 방울토마토의 신장생장을 촉진하였으며, 재배개시 초기 줄기 비대에 있어서는 LEDs나 HPS 조사구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이후 광원의 차이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인공광 식물공장 조건은 아니지만 온실에서 재배한 토마토 생장이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HPS나 MH, 형광등이나 LEDs 등의 광원을 보광광원이나 주광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10,11,24,27]. 인공광 식물공장에서는 주광원으로 이들 광원을 조사하면 과방수 증가에 있어 광원 차이에 의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HPS 대비 LEDs 조사에 의한 토마토 생장 촉진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다[9,16,33]. 본 연구조건에서와 같이 HPS 광원이 방울토마토의 신장생장이나 과방수 증가에 있어 LEDs에 비해 효과적이었다고 하더라도 수확량 증가에는 오히려 LEDs가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광원별 수확량이나 생장의 차이는 광원 이외에 재배시설의 재배환경, 배양액 관리, 보광광원이나 주광원 등의 광원이용방법 등의 차이에 의한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LEDs 광원은 ‘CF Jelly’ 방울토마토의 개체당 과실 수확량은 15kg 수준으로서 HPS 대비 33% 이상, MH 대비 88% 이상 증가하였다. 인공광 식물공장 조건에서 시험한 3종의 광원 중 과실당도는 HPS 조사구에서 9.9 oBrix로 최대인 반면 LEDs나 MH 조사구에서는 9.2와 9.3 oBrix로 낮게 나타났다. LEDs에 비해 조사한 광원이 포함하고 있는 적색광 파장역이 넓은 HPS 조사구에서 당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적색광질이 작물의 호흡이나 해당작용을 촉진하여 과실내 당을 축적하는 기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17,31,32].
인공광 식물공장 조건에서 조사광원이 갖는 광질이 배꼽썩음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데, 본 연구에서와 같이 광원별 광강도를 동일하게 제어한 조건에서는 방울토마토 과실의 배꼽썩음병 발생율은 HPS 조사구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해 볼 때 본 시험에서 청색과 적색 비율이 1:9로 낮게 제조한 LEDs 채용이나 MH 광원이 갖는 청색 파장역의 비율에 비해 HPS 광원내 청색광질 비율이 낮아 토마토의 물질대사능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예측된다[28,36-38]. 일반적으로 작물의 이차대사산물은 광합성동화산물로부터 합성되는데[32], 광합성 속도는 광강도나 광질, 광조사 시간 등 광환경에 의해 좌우되므로 결국 이차대사산물의 합성 역시 광질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적색광질은 세포생장을 촉진하는 반면 청색광질은 세포비대를 억제하여 과실 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과실이 급격하게 비대하면서 발달하는 배꼽썩음병은 청색광질 조사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3,39]. 또한 과채류의 경우 세포 팽창속도가 증가하는 개화기부터 과실 발달 초기에는 Ca 결핍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배꼽썩음병이 발생하기 쉽다[22]. 배꼽썩음병 발생은 과실 세포 팽창 속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과실 발달 초기에 청색광을 조사할 경우 세포 팽창속도를 지연시키면 배꼽썩음병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한다[29].
식물 재배에 사용되는 고압나트륨등, 메탈할라이드등, 형광등과 같이 온실조건에서 보광광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광원의 경우 청색이나 적색 파장역이 LEDs 광원에 비해 낮다. 따라서 인공광만으로 자연광과 동등한 수준의 광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인공광 식물공장 시스템에서는 각 광원을 주광원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파장역을 선택하여 단일 또는 혼합광 제어가 용이한 LEDs 광원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23,25,35]. 물론 LEDs도 온실과 같은 자연광 재배시설에서 보광광원으로 일부 채용되고 있으나, 광원의 크기, 발열량, 광원 수명 등을 고려하면 주년 생산시설인 인공광 식물공장의 광원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14,17,21,25]. 본 실험 조건에서 LEDs나 MH 조사는 HPS에 비해 ‘CF Jelly’ 방울토마토의 당합성을 억제하였으나 배꼽썩음병 발생 억제에는 HPS 대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광원과 재배베드 간의 거리 문제로 인하여 재배기간이나 수확기간이 긴 온실재배 방울토마토를 1회 파종정식 후 12회까지 수확하였으나 HPS나 MH에 비해 LEDs 광원은 과실 생산성을 증가시키기에 유리한 광원임을 알 수 있었다. 금후 식물공장 재배 방울토마토의 배꼽썩음병 발생율과 관련한 배양액 조성, 광강도 및 품종간 생육 특성 등의 상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Note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Heo, JW., & Baek,JH.
((2021)).
Effects of light-quality control on the plant growth in a plant factory system of artificial light typ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40.
270
- 278.
2. Cha, MK., Cho, JH., & Cho,YY.
((2013)).
Growth of leaf lettuce as affected by light quality of LED in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2.
291
- 297.
3. Cosgrove, DJ., & Green,PB.
((1981)).
Rapid suppression of growth by blue light: Biophysical mechanism of action..
Plant Physiology
68.
1447
- 1453.
4. Deram, P., Lefsrud, MG., & Orsat,V.
((2014)).
Supplemental lighting orientation and red-to-blue ratio of lightemitting diodes for greenhouse tomato production..
HortScience
49.
448
- 452.
5. Kozai,T.
((2013)).
Sustainable plant factory: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s with artificial light for high resource use efficiencies and quality produce..
Acta Horticulturae
1004.
27
- 40.
6. Inden, H., Akamastu, Y., Mastuda, T., & Yamamoto,M.
((2011)).
Low cost plant factory using hybrid electrode fluorescent lamp (HEFL).
Acta Horticulturae
907.
157
- 160.
7. Lee, MJ., Son, KH., & Oh,MM.
((2016)).
Increase in biomass and bioactive compounds in lettuce under various ratios of red to far-red LED light supplemented with blue LED light..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57.
139
- 147.
8. Batista, DS., Felipe, SHS., Silva, TD., de Castro, KM., Mamedes-Rodrigues, TC., Miranda, NA., Ríos-Río, AM., Faria, DV., Fortini, EA., & null,null.
((2018)).
Light quality in plant tissue culture: does it matter?..
In Vitro Cellular & Developmental Biology-Plant
54.
195
- 215.
9. Dueck, TA., Janse, J., Eveleens-Clark, B., & Kempkes,F.
((2011)).
Growth of tomatoes under Hybrid LED and HPS lighting..
Acta Horticulturae
952.
335
- 342.
10. Liu, XY., Chang, SR., Guo, ZG., & Li,XJ.
((2011)).
Effect of different light quality of LED on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 in cherry tomato seedlings..
Acta Horticulturae
907.
325
- 330.
11. Liu, XY., Xu, YL., Wang, Y., Yang, QC., & Li,QM.
((2022)).
Rerouting artificial light for efficient crops production: A review of lighting strategy in PEALs..
Agronomy
12.
1021
- 1029.
12. Lee, SY., Kwon, JK., Park, KS., & Choi,HG.
((2014)).
The effect of LED light source on the growth and yield of greenhouse grown tomato..
Acta Horticulturae
1037.
789
- 793.
13. Lee,KH.
((2018)).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f urban agricultural plant factories on the growth of daughter plants of ‘Seolhyang’ strawberry..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7.
821
- 829.
14. Kang, SN., Yang, HJ., Ko, BS., Kim, MJ., Kim, BS., & Park,SM.
((2015)).
Effect of LED with mixed wavelengths on bio-active compounds in cherry tomato and red cabbage..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31.
505
- 509.
15. Kim, SJ., Bok, GJ., Lee, GJ., & Park,JS.
((2017)).
Growth characteristics of lettuce under different frequency of pulse lighting and RGB ratio of LED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6.
123
- 132.
16. Gómez, C., & Mitchell,CA.
((2015)).
Growth responses of tomato seedlings to different spectra of supplemental lighting..
HortScience
50.
112
- 118.
17. Bian, ZH., Yang, QC., & Liu,WK.
((2015)).
Effects of light quality on the accumulation of phytochemicals in vegetables produced in controlled environments: a review..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95.
869
- 877.
18. Karimi, M., Ahmadi, N., & Ebrahimi,M.
((2022)).
Red LED promotes biomass, flowering and secondary metabolites accumulation in hydroponically grown Hypericum perforatum L. (cv. Topas)..
Industrial Coprs and Products
175.
114239
- 114251.
19. Sui, YX., & Harvey,PJ.
((2021)).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wavelength on biomass growth and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Dunaliella salina..
Foods
10.
1018
- 1028.
20. Chen, XL., Guo, WZ., Xue, XZ., Wang, LC., & Qiao,XJ.
((2014)).
Growth and quality responses of ‘Green Oak Leaf’ lettuce as affected by monochromic or mixed radiation provided by fluorescent lamp (FL) and lightemitting diode (LED)..
Scientia Horticulturae
172.
168
- 175.
21. Morrow,RC.
((2008)).
LED lighting in horticulture..
HortScience
43.
1947
- 1950.
22. Willumsen, J., Petersen, KK., & Kaack,K.
((1996)).
Yield and blossom-end rot of tomato as affected by salinity and cation activity ratios in the root zone..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71.
81
- 98.
23. Orsini, F., Pennisi, G., Zulfiqar, F., & Gianquinto,G.
((2020)).
Sustainable use of resources i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PFALs)..
Europ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85.
297
- 309.
24. Paucek, I., Pennisi, G., Pistillo, A., Appolloni, E., Crepaldi, A., Calegari, B., Spinelli, F., Cellini, A., Gabarrell, X., & null,null.
((2020)).
Supplementary LED lighting improve yield and precocity of greenhouse tomatoes in the mediterranean..
Agronomy
10.
1002
- 1015.
25. Promratrak,L.
((2017)).
The effect of using LED lighting in the growth of crops hydropon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Grid and Clean Energy
6.
133
- 140.
26. Lee, HG., Lee, HK., Lee, MH., Kim, GJ., & Choi,JJ.
((2010)).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Qualities of Truss Tomato in Hydroponic Culture, Proceeding of Kor..
J. Hort. Sci. Technol
28.
27. Son, KH., Kim, EJ., & Oh,MM.
((2018)).
Growth and development of cherry tomato seedlings grown under various combined ratios of red to blue LED lights and fruit yield and quality after transplanting..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7.
54
- 63.
28. Landi, M., Zivcak, M., Sytar, O., Brestic, M., & Allakhverdiev,S.
((2020)).
Plasticity of photosynthetic processes and the accumul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in response to monochromatic light environment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Bioenergetics
1861.
148131.
29. Djangsou, H., Enrico, F., Domenico, R., & Matteo,B.
((2019)).
Blossom end-rot in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a multi-disciplinary overview of inducing factors and control strategies..
Scientia Horticulturae
249.
49
- 58.
30. Olle, M., & Viršile,A.
((2013)).
The effects of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on greenhouse plant growth and quality..
Agricultural and Food Science
22.
223
- 234.
31. Owen, J., Laybourn-Parry, J., & Wellburn,A.
((1987)).
Influences of light quality, growth regulators and in hibitors of protein synthesis on respiration of protoplasts from meristematic cells in barley seedlings..
Annals of Botany
59.
99
- 105.
32. Bartwal, A., Mall, R., Lohani, P., Guru, SK., & Arora,S.
((2013)).
Role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brassinosteroids in plant defense against environmental stresses..
Journal of Plant Growth Regulation
32.
216
- 232.
33. Meramkulova, K., Tanybayeva, Z., Kydyrbekova, A., & Turbekova,A.
((2021)).
The efficiency of LED irradiation for cultivating high-quality tomato seedlings..
Sustainability
13.
9426
- 9426.
34. Dannehl, D., Schwend, T., Veit, D., & Schmidt,U.
((2021)).
Increase of yield, lycopene, and lutin content in tomatoes grown under continuous PAR LED lighting..
Frontiers in Plant Science
12.
611236.
35. Wang, S., Jin, N., Jin, L., Xiao, X., Hu, L., Liu, Z., Wu, Y., Xie, Y., Zhu, W., & null,null.
((2022)).
Response of tomato fruit quality depends on period of LED supplementary light..
Frontiers in Nutrition
9.
833723.
36. Zha, LY., Liu, WK., Yang, QH., Zhang, YB., Zhou, CB., & Shao,MJ.
((2020)).
Regulation of ascorbate accumulation and metabolism in lettuce by the red:blue of continuous light using LEDs..
Frontiers in Plant Science
11.
704.
37. Yan, W., Zhang, Y., Cheng, R., Yang, Q., & Li,T.
((2018)).
Effects of supplementary artificial light on growth of the Tomato (Solanum lycoersicum) in a Chinese greenhouse..
The Horticulture Journal
87.
516
- 523.
38. Xie, BX., Wei, JJ., Zhang, YT., Su, W., Sun, GW., Hao, YW., & Liu,HC.
((2019)).
Supplemental blue and red light promote lycopene synthesis in tomato fruits..
Journal of Integrative Agriculture
18.
590
- 598.
39. Cosgrove,DJ.
((1988)).
Mechanism of rapid suppression of cell expansion in cucumber hypocotyls after bluelight irradiation..
Planta
176.
109
-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