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및방법
시험농약 및 시약
시험약제는 팜한농에서 구입한 10.26% 유상수화제(제품명: 베네비아)와 경농에서 구입한 5% 유제(제품명: 프로큐어)를 사용하였다(Fig. 1). 현재 cyantraniliprole은 시설작물에 두 가지 형태의 제품이 서로 다른 작기에 사용되고 있어서 이를 고려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Cyantraniliprole의 표준품(순도 94.45%)은 Dr. Ehresnstorfer GmbH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유기용매는 HPLC급으로서 J.T. Baker (Phillipsbug, NJ,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기타 시약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한 분석용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시료에서 농약의 추출 및 정제를 위한 QuEChERS kit는 Agilent (San Francisco, CA, USA)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포장 및 약제처리
시험은 시설하우스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포장 1은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35°15′13.3″N 126°53′22.2″E)에 마련하였고 시험포장 2는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36°18′31.3″ N 127°10′14.7″E)에 마련하였다. 시험작물은 알타리무(신명알타리무, 농우바이오), 상추(진청맛 청상추, 권농종묘) 및 시금치(삼산 시금치, 경신종묘)이었다. 약제는 OECD 가이드라인[3]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제형별로 연간 최고 사용농도를 고려하여 나지토양 조건의 시험구에 68.28 g a.i./10a (베네비아 30.78 g a.i. + 프로큐어 37.5 g a.i.) 수준으로 1회 처리하였다. 시험구는 2 m × 5 m (가로 × 세로) 크기로 3 반복으로 마련하였다. 시험구 사이는 1.0 m 이상의 완충구역을 두어 시험구 간의 영향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약제처리 후 시험구의 토양을 30일(PBI 30)과 60일(PBI 60) 동안 나지상태로 방치한 다음 시험작물을 20 cm × 20 cm의 재식밀도로 정식 (상추) 및 파종(시금치, 알타리무)하였다. 약제처리 후 시험작물을 정식 및 파종할 때는 먼저 시험구의 토양을 동력 관리기(KM WG420, 동양 농기계)를 이용하여 경운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농기구로 고르게 정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작물 및 환경의 관리에 현장에 상주하는 농가의 도움을 받아 관행적으로 관리하였으며 시험약제로 인한 작물의 생육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시료채취
토양시료는 약제를 처리 후 작물 식재(파종) 당일과 수확일에 각 반복구당 1 kg 이상을 채취하였다. 시료는 채취 후 건조하지 않고 곧바로 2 mm 체에 통과시켜서 부유물을 제거한 다음 폴리에틸렌 비닐봉지에 넣어서 밀봉하였으며 시험이 종료될 때까지 냉동보관(–20℃)하였다. 한편, 상추 시료와 시금치 시료는 최종 수확 7일전(50% 성숙)과 최종 수확일(100% 성숙)에 각각 채취하였으며 알타리무 시료는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서 일시적으로 채취하였다. 상추 시료와 시금치 시료는 지상부만 채취하여 세절하였으며 알타리무 시료는 흐르는 수돗물에 가볍게 세척한 후 지하부와 지상부를 각각 적절한 크기로 세절하였다. 세절된 시료는 상기와 같이 시험이 종료될 때까지 냉동상태로 보관하였다.
시료의 추출 및 정제
시료의 추출 및 정제를 위한 방법은 QuEChERS 방법[6]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조건에 맞게 적절하게 개선하였다. 토양시료의 경우 10 g을 50 mL 원심분리튜브에 칭량하여 넣고 증류수 10 mL를 가한 다음 15분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 10 mL acetonitrile를 첨가하여 2분간 진탕한 후 4.0 g magnesium sulfate와 1.0 g magnesium chloride를 넣고 2분 동안 다시 진탕하였다. 진탕 후 3,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유기용매층(1.0 mL)을 취하여 25 mg PSA, 150 mg magnesium sulfate와 25 mg C18을 함유한 분말 고체상추출용 튜브에 넣고 2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시료를 8,0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 후 얻은 유기용매층(1.0 mL)을 PTFE-H (0.2 ㎛)로 여과한 다음 기기분석에 이용하였다. 식물시료의 경우 시료 10 g을 상기와 같이 acetonitrile과 함께 원심분리튜브에 넣고 진탕하였다. 진탕 후 튜브에 4.0 g magnesium sulfate와 1.0 g magnesium chloride를 넣고 2분 동안 다시 진탕한 다음 3,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상추 시료와 시금치 시료 그리고 알타리무 지상부 시료의 경우 원심분리 후 얻어진 유기용매층(1.0 mL)을 취하여 25 mg PSA, 150 mg magnesium sulfate와 2.5 mg GCB를 함유한 분말고체상 추출용 튜브에 가한 다음 2분 동안 진탕하였다. 알타리무 지하부 시료는 원심분리 후 얻어진 유기용매층(1.0 mL)을 25 mg PSA, 150 mg magnesium sulfate와 25 mg C18를 함유한 분말고체상 추출용 튜브에 넣고 2분 동안 진탕하였다. 이와같이 진탕 후 8,0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한 후 상징액을 상기와 같이 여과하여 기기분석에 이용하였다.
Cyantraniliprole의 분석법
식물 및 토양시료 중 cyantraniliprole의 분석은 표준품의 matrix-matched 검량선의 직선성 및 결정계수(R2), 정량 한계(LOQ), 회수율시험, ion ratio 등등을 고려하여 농촌진흥청의 잔류농약분석법 가이드라인에 충족되도록 확립하였다.
Cyantraniliprole 표준품의 matrix-matched 검량선은 상기에서 얻은 대조구용 토양 및 작물시료의 추출액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Cyantraniliprole 표준품을 acetonitrile 10 mL에 녹여 1,000 mg/mL 수준의 stock solution을 조제한 후 이를 acetonitrile로 희석하여 200 mg/mL 수준의 working solution을 조제하였다. 조제한 working solution을 대조구 시료(식물 및 토양)의 추출액에 10 μL씩 첨가하여 농도가 2.0 mg/mL 수준이 되도록 조제한 다음 대조구 시료의 추출액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0.005~0.2 mg/L가 되도록 matrix-matched 표준용액을 조제하였다. 검량선은 표준용액 5 μL를 분석기기에 주입하여 나타난 chromatogram상의 peak area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분석법의 정량한계 (Limit of Quantitation, LOQ)는 신호잡음비(signal to noise, S/N)의 값이 10인 조건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LOQ (mg/kg) = 최소검출량(ng) × [최종 희석부피(mL)/기기 주입량(μL)] × 1/시료량(g). Cyantraniliprole의 회수율 시험은 대조구 토양 및 식물시료 10 g에 cyantraniliprole을 0.01 mg/kg과 0.1 mg/kg 수준으로 3반복 처리 한 다음 상기와 같이 시료를 전처리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기기
사용된 기기는 Waters model ACQUITYTM UPLCTM 시스템이 구비된 Waters Xevo TQD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이하 ‘LC/MS/MS’)로서 시료의 이온화는 electron spray ionization (ESI)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조건은 Table 2와 같았다. 분석에 사용된 칼럼은 CAPCELL CORE C18(150×2.1 mm, 2.7 μm, Shiseido, Osaka, Japan)이었다. 또한, 이동상은 0.1%(v/v) formic acid가 함유된 물(A)과 acetonitrile(B) 혼합용매로서 유속 0.4 mL/min으로 다음과 같이 흘려보냈다: 50% A (1.0 min) → 100% B (2.0 min) → 100% B (3.0 min) → 50% A (4.0 min) → 50% A (5.0 min). Cyantraniliprole의 LC/MS/MS 조건은 Table 2와 같았다.
References
1. Wang, R., Zhang, W., Che, W., Qu, C., Li, F., Desneux, N., & Luo,C.
((2017)).
Lethal and sublethal effects of cyantraniliprole, a new anthranilic diamide insecticide, on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MED..
Crop Protection
91.
108
- 113.
2. Lee, M., Lee, H., Lee, S., Kim, J., Kim, S., Kim, Y., Suh, J., & Youn,Y.
((2014)).
Effect of cyantraniliprole against of Bemisia tabaci and prevention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8.
33
- 40.
3.
((2016)).
Draft guidance document on residues in rotational crops..
4.
(2009).
Guideline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Regulatory Food Safety Assurance Programme Associate with the Use of Veterinary Drugs in Food Producing Animals CAC/GL 71..
5.
SANTE Guidance Document on Analytical Quality Control and Validation Procedures for Pesticide Analysis in Food and Feed; SANTE/11813/2017.
2018.
6. Anastassiades, M., & Lehotay,SJ.
((2003)).
Fast and easy multiresidue method employing acetonitrile extraction/partitioning and dispersive solid-phase 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produce..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86.
412
- 431.
7. Dong, M., Nie, D., Tang, H., Rao, Q., Qu, M., Wang, W., Han, L., Song, W., & Han,Z.
((2015)).
Analysis of amicarbazone and its two metabolites in grains and soybeans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Separation Science
38.
2245
- 2252.
8. EL-Saeid, M., & Alghamdi,AG.
((2020)).
Identification of pesticide residues and prediction of their fate in agricultural soil..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231.
1
- 10.
9. Remucal,C.
((2014)).
The role of indirect photochemical degradation in the environmental fate of pesticides: a review..
Environmental Science: Processes and Impacts
16.
628
- 653.
10. Wauchope, RD., Yeh, S., Linders Jan, BHJ., Kloskowski, R., Tanaka, K., Rubin, B., Katayama, A., Kördel, W., Gerstl, Z., Lane, M., & null,null.
((2002)).
Pesticide soil sorption parameters: theory, measurement, uses, limitations and reliability..
Pest Management Science
58.
419
- 445.
11. Kah, M., & Brown,CD.
((2007)).
Changes in pesticide adsorption with time at high soil to solution ratios..
Chemosphere
68.
1335
- 1343.
12. Hwang, K., Yoo, SC., Le, S., & Moon,JK.
((2018)).
Residue level of chlorpyrifos in lettuces grown on chlorpyrifos-treated soils..
Applied Science
8.
1
- 10.
13. Park, S., Yoo, J., Oh, K., Park, B., Kim, S., Chon, K., Kwon, H., Hong, S., Moon, B., & Choi,H.
((2017)).
Uptake and translocation of the soil residual pesticides into the vegetable crop..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21.
298
- 309.
14. Hwang, J., Zimmerman, A., & Kim,J.
((2018)).
Bioconcentration factor-based management of soil pesticide residues: Endosulfan uptake by carrot and potato plants..
Science and Total Environment
627.
514
- 522.
15. Lim, DJ., Kim, SW., Kim, YE., Yoon, JH., Cho, HJ., Shin, BG., Kim, HY., & Kim,IS.
((2021)).
Plant-back intervals of imicyafos based on its soil dissipation and plant uptake for rotational cultivation of lettuce and spinach in greenhouse..
Agriculture
11.
1
- 10.
16. Anastassiadou, M., Brancato, A., Cabrera, LC., Greco, L., Jarrah, S., Kazocina, A., Leuschner, R., Magrans, JO., Miron, L., Nave, S., & null,null.
((2019)).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maximum residue levels for cyantraniliprole in Chinese cabbages, blackberries and raspberries..
EFSA Journal
17.
27.
17. Hwang, JI., Kwak, SY., Lee, SH., Kang, MS., Ryu, JS., Kanf, JG., Jung, HH., Hong, SH., & Kim,JE.
((2016)).
Establishment of safe guideline based on uptake pattern of pesticide residue from soil by radish..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5.
278
- 285.
18. Park, SW., Ryu, JH., Oh, KS., Park, BJ., Kim, SS., Chon, KM., Kwon, HY., Hong, SM., Moon, BC., & Choi,H.
((2017)).
Uptake and translocation of the soil residual pesticides into the vegetable crop..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21.
298
- 309.
19. Kim, YE., Yoon, JH., Lim, DJ., Kim, SW., Cho, H., Shin, BG., Kim, HY., & Kim,IS.
((2021)).
Plant back interval of fluopyram based on primary crop-derived soil and bare soil residues for rotational cultivation of radish..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40.
99
- 107.
20. Motoki, Y., Iwafune, T., Seike, N., Otani, T., & Akiyama,Y.
((2015)).
Relationship between plant uptake of pesticides and water-extractable residue in Japanese soils..
Japan Pesticide Science
40.
175
-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