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및고찰
오염토양 및 안정화물질 특성
오염토양은 pH 8.06의 알칼리성이었고, 유기물과 유효인산 함량은 각각 15.8 g/kg과 108 mg/kg으로 일반적인 밭토양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36]. 토성의 경우 미사질양토(점토 13.4%, 미사 50.4%, 모래 36.2%)로 나타났다. 특히 중금속 농도의 경우 총함량 기준 As, Cd, Pb 및 Zn이 각각 165, 9.97, 279 및 315 mg/kg으로 모든 중금속이 국내 토양환경보전법 농경지 우려기준을 초과하였고, As의 경우는 대책기준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8].
안정화물질의 산도는 제강슬래그(pH 10.2) > 석회석(pH 8.62) > 백운석(pH 8.56)의 순으로 모든 물질이 알칼리 특성을 보였다. 안정화물질이 함유하는 중금속 함량은 As, Pb 및 Zn이 각각 ND~0.67, 1.41~7.04 및 9.34~134 mg/kg으로 농경지 토양오염기준치를 만족하였다. 하지만 Cd의 경우 0.07~19.2 mg/kg으로 토양오염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함유량이 높은 안정화물질은 제강슬래그(Cd 19.2 mg/kg)로 농경지 토양 처리 시 주의가 필요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안정화물질의 입도분석결과 유효입경(D10)은 제강슬래그(4.87㎛) > 석회석(2.31㎛) > 백운석(2.00㎛)으로 백운석의 비표면적이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중금속 안정화 효율성
토성과 유기물 함량을 조절한 오염 토양에 안정화물질을 처리하고 6주간 배양하였을 때 토양 내 중금속 함량은 Fig. 1과 같다. 안정화물질을 처리한 동일한 유기물 함량을 가진 상이한 토성 처리구에서의 중금속 함량은 대조구 대비 감소하였지만, 제강슬래그 처리구 일부에서 As, Cd 및 Pb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높은 농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화 물질의 처리 효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부분의 석회석 > 백운석 > 제강슬래그 순으로 나타났다. 토성 및 유기물 함량에 따른 As의 안정화 최대효율은 사질양토 25%, 양토 24%, 미사질양토 27%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높은 As 안정화 효율을 보였으며, 제강슬래그의 경우 토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최대 5%)을 나타냈다. 이는 사질양토의 높은 모래 함량으로 인한 금속이온의 흡착이 감소한 결과로 판단된다[15]. 안정화물질 처리에 따른 알칼리(pH >7) 토양 조건에서 다량의 Ca2+와 As는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안정화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23], 이는 본 연구 결과에서 유효태 As가 감소한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As의 안정화 효율은 석회석과 백운석의 처리가 제강슬래그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안정화물질의 영향과 석회석과 백운석에 비해 제강슬래그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흡착이 가능한 비표면적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라고 판단된다.
토양 내 Cd, Pb 및 Zn의 경우 석회석과 백운석의 처리 효율성은 대체적으로 미사질양토> 양토 > 사질양토의 순이었고, 제강슬래그는 사질양토> 미사질양토 ≈ 양토의 순으로 토성에 따라 안정화물질의 효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이 달라져도 석회석과 백운석은 유사한 효율을 보이지만, 제강슬래그의 경우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면 안정화 효율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내 Cd, Pb 및 Zn과 같은 양이온성 중금속 농도의 감소는 안정화물질이 함유하는 다량의 탄산염과 수산화염이 금속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한 형태의 metal-carbonate 또는 metal-hydroxide 등과 같은 착화합물 형성하며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4,5,10]. 안정화물질 별 효율차이는 체거름 된 안정화물질 분획의 분말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물질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유기물 함량 증가에 따른 중금속의 안정화 효율성 증가는 토양 내 중금속의 화학종이 치환성 결합태에서 유기물 결합태로 변환되며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24,25]. 토양에 처리한 퇴비로부터 방출된 유기성 관능기의 영향으로 유효태Cd 함량이 대조구보다 9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5],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 토양 내 중금속 안정화에 있어 유기물 함량의 영향보다는 안정화물질 자체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작물의 중금속 생물유효도
토성과 유기물 함량에 따라 안정화물질이 중금속 생물유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2). As의 경우 석회석과 백운석의 처리는 각각 토성과 유기물 함량 조절한 모든 처리구에서 중금속의 생물유효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제강슬래그 처리는 토양 내 유효태 As 함량과 유사하게 사질양토 처리구에서 흡수량이 가장 적었고, 사질양토 처리구에서는 다른 안정화물질에 비해 효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강슬래그의 처리는 동일한 토성에서 유기물 함량이 2%를 초과하는 토양에서 농작물에 의한 흡수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d, Pb 및 Zn의 생물유효도도 안정화물질의 처리에 따라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성과 유기물 함량에 따라 차이는 보이지만, 모든 양이온성 원소의 작물 흡수량 저감에 대해 석회석과 백운석의 처리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토양의 pH가 알칼리성일 때 양이온 중금속의 유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pH 교정력이 낮은 제강슬래그 처리구보다 효율성이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5,10,26].
안정화물질 처리에 따른 작물의 중금속 생물유효도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미사질양토와 양토에서 높았고, 이는 상대적으로 사질양토에 비해 모래 함량이 적고 점토 함량이 높은 토양으로 안정화물질과 오염물질 간에 반응성이 높아지며 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15]. 또한, 양이온성 중금속의 경우 토양 유기물 함량이 1.5%와 3.5%일 때 8.0%보다 농작물에 의한 생물유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기물의 경우 중금속을 토양 내 고정하거나 방출을 유도할 수 있는 인자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18,27,28].
토양 개량효과
오염토양 특성을 조절하고 처리한 안정화물질이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Table 1). 토양의 pH는 알칼리성 안정화물질 처리에 따라 토성 및 유기물 함량을 조절하여도 대조구와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공시토양의 pH가 높았던 특성에 기인하여 완충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안정화물질 처리에 따른 토양 pH 변화는 없었고, 유기물 함량을 조절한 실험구의 경우 유기물 함량이 높아질수록 안정화물질 처리에 따라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모든 토성 조절 토양에서 안정화 물질 처리에 따라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토성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에 따른 토양 내 유효인산 함량의 변화는 안정화물질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이탄의 처리로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면 유효인산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안정화물질 처리구에서 유효인산 함량이 감소한 것은 알칼리조건 하에서 안정화물질이 함유하는 Ca2+이 인과 반응하여 난용성 형태로 침전되며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29].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은 미사질양토와 양토에서 석회석 처리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사질양토에서 시험에 사용한 모든 안정화물질의 처리로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조절한 처리구의 경우에는 석회석 처리에 따라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은 단위질량당 흡착될 수 있는 양전하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교환성 양이온, pH 및 점토함량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다[30,31]. 이에 따라 시험에 사용한 안정화물질 중 다른 안정화물질에 비해 다량의 교환성 Ca2+, Mg2+ 등의 함량이 높았던 석회석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토성을 조절한 시험구 중 상대적으로 낮은 점토의 비율을 갖는 사질양토에서 안정화물질 처리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은 판단된다.
미생물, 식물근권 및 동물유체로부터 파생한 효소는 토양 중의 여러 가지 유기 및 무기 성분의 변환에 관여한다. 토양의 효소 활성도는 비옥도, 미생물의 활동, 다양한 원소들의 생화학적 순환, 중금속 오염도 등 생태계에서의 연속적인 단계를 평가하는데 있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성능이 저하된 토양의 효소활성 측정은 환경 변화 또는 관리의 영향을 조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본 연구에서 특성을 조절한 토양에 처리한 안정화물질로 인해 변화한 탈수소효소 활성도와 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도는 Table 2와 같이 나타났다.
토성 조절 후 안정화물질 처리에 따른 토양 내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미사질양토에서 안정화물질 처리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양토와 사질양토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도는 토성을 조절하여도 모든 안정화물질 처리구와 대조구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사질양토에서 유기물 함량 3.5와 8.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중금속 함량과 효소 활성도는 높은 상관성을 갖고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3]. 이는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안정화물질 처리로 인해 토양 내 중금속의 생물유효도를 감소시킨 것은 대조구보다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킨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토양 내 수용성 As 함량과 효소 활성도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24], 석회석의 처리가 생육 환경을 개선하여 미생물 활성이 증진될 수 있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34].
중금속 오염 토양의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2.9±12.1 μg-TPF/g/h와 복원 후 토양의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53.0±0.5 μg-TPF/g/h의 수준으로 보고되었고[34], 오염토양의 수준은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복원 토양의 경우 선행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안정화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던 이유로 판단된다. 또한, 중금속 오염 토양에 처리한 유기성 물질은 탈수소효소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고[35], 본 연구에서 처리한 이탄의 영향으로 토양 내 유기물 함량 증가에 따라 탈수소효소와 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도가 증가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Note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Yang, JS., Lee, JY., Baek, K., Kwon, TS., & Choi,J.
((2009)).
Extraction of behavior of As, Pb, and Zn from mine tailing with acid and base solu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71.
443
- 451.
2. Rai, PK., Lee, SS., Zhang, M., Tsang, YF., & Kim,KH.
((2019)).
Heavy metals in food crops: Health risks, fate, mechanisms, and management..
Environment International
125.
365
- 385.
3. Gu, BW., Kim, mj., & Park,SJ.
((2017)).
Application of zeolite with different cation exchange capacity for the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upland soi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
41
- 49.
4. Kumpiene, J., Lagerkvist, A., & Maurice,C.
((2008)).
Stabilization of As, Cr, Cu, Pb and Zn in soil using amendments – a review..
Waste Management
28.
215
- 225.
5. Ok, YS., Kim, SC., Kim, DK., Skousen, JG., Lee, JS., Cheong, YW., Kim, SJ., & Yang,JE.
((2011)).
Ameliorants to immobilize Cd in rice paddy soils contaminated by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33.
23
- 30.
6. Koh, IH., Lee, SH., Lee, WS., & Chang,YY.
((2013)).
Assessment on the transition of arsenic and heavy metal from soil to plant according to stabilization process using limestone and steelmaking slag..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8.
63
- 72.
7. Allen, HL., Brown, SL., Chaney, RL., Daniels, WL., Henry, CL., Neuman, DR., Rubin, E., Ryan, J., & Toffey,W.
((2007)).
The use of soil amendments for remediation, revitalization, and reuse. EPA 542-R-07-013..
17
- 26.
8. Yun, SW., Kang, SI., Jin, HG., Kim, hj., Lim, YC., Yi, JM., & Yu,C.
((2011)).
An investigation of treatment effects of limestone and steel refining slag for stabilization of arsenic and heavy metal in the farmland soils nearby abandoned metal min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
734
- 744.
9. Lee, SH., Lee, JS., Choi, YJ., & Kim,JG.
((2009)).
In situ stabilization of cadmium-, lead-, and zinc-contaminated soil using various amendments..
Chemosphere
77.
1069
- 1075.
10. Lee, SS., Lim, JE., Abd El-Azeem, SAM., Choi, B., Oh, SE., Moon, DH., & Ok,YS.
((2013)).
Heavy metal immobilization in soil near abadoned mines using eggshell waste and rapeseed residue..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
1719
- 1726.
11. Yang, JE., Kim, HJ., Ok, YS., Lee, JY., & Park,JH.
((2007)).
Treatment of abandoned coal mine discharged waters using lime wastes..
Geosciences Journal
11.
111
- 114.
12. Abdu, N., Abdullahi, AA., & Abdulkadir,A.
((2017)).
Heavy metals and soil microbes..
Environmental Chemistry Letters
15.
65
- 84.
13. Rosado, D., Usero, J., & Morillo,J.
((2016)).
Assessment of heavy metals bioavailability and toxicity toward Vibrio fischeri in sediment of the Huelva estuary..
Chemosphere
153.
10
- 17.
14. Carolin, CF., Kumar, PS., Saravanan, A., Joshiba, GJ., & Naushad,M.
((2017)).
Efficient techniques for the removal of toxic heavy metals from aquatic environment: A review..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5.
2782
- 2799.
15. Ociepa, E., Kisiel, A., & Lach,J.
((2010)).
Effect of fertilization with sewage sludge and composts on the change of cadmium and zinc solubility in soils..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2.
171
- 175.
16. Vamerali, T., Bandiera, M., & Mosca,G.
((2010)).
Field crops for phytoremediation of metal – contaminated land: a review..
Environmental Chemistry Letters
8.
1
- 17.
17. Sheoran, V., Sheoran, AS., & Poonia,P.
((2009)).
Phytomining: a review..
Minerals Engineering
22.
1007
- 1019.
18. Gang, W., Hubiao, K., Xiaoyang, Z., Hongbo, S., Liye, C., & Chengjiang,R.
((2010)).
A critical review on the bio-removal of hazardous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 issues, progress, eco-environmental concern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74.
1
- 8.
19. Campos, JA., Peco, JD., & Garcia-Noguero,E.
((2019)).
Antigerminative comparison between naturally occurring naphthoquinones and commercial pesticides. Soil dehydrogenase activity used as bioindicator to test soil toxic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94.
133672.
20. Abd El-Azeem, SAM., Ahmad, M., Usman, ARA., Kim, KR., Oh, SE., Lee, SS., & Ok,YS.
((2013)).
Changes of biochemical properties and heavy metal bioavailability in soil treated with natural liming material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70.
3411
- 3420.
21. Koo, N., Lee, SH., & Kim,JG.
((2012)).
Arsenic mobility in the amended mine tailings and its impact on soil enzyme activity..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34.
337
- 348.
22. Lee, SH., Park, H., Koo, N., Hyun, S., & Hwang,A.
((2011)).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amendments on trace metals stabilization by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88.
44
- 51.
23. Brady, NC., & Weil,RR.
((2010)).
Elements of the natural and properties of soils.
37.
24. Lim, JE., Moon, DH., Kim, D., Kwon, OK., Yang, JE., & Ok,YS.
((2009)).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oyster-shell wastes for stabilization of arsenic contaminated soi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1.
1095
- 1104.
25. Kumar, S., Chaudhuri, S., & Maiti,SK.
((2013)).
Soil dehydrogenase enzyme activity in natural and mine soil: a review..
Middle-East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13.
898
- 906.
26. Effron, D., De La Horra, AM., Defrieri, RL., Fontanive, V., & Palma,PM.
((2004)).
Effect of cadmium, copper, and lead on different enzyme activities in a native forest soil..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35.
1309
- 1321.
27. Kim, MS., Min, H., Kim, JG., Koo, N., Park, JS., & Bak,GI.
((2014)).
Effects of various amendments on heavy metal stabilization in acid and alkali soil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3.
1
- 8.
28. de Mora, AP., Ortega-Calvo, JJ., Cabrera, F., & Madejón,E.
((2005)).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and microbial biomass after “in situ” remediation of a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Applied Soil Ecology
28.
125
- 137.
29. Moon, DH., Wazne, M., Yoon, IH., & Grubb,DG.
((2008)).
Assessment of cement kiln dust (CKD) for stabilization/solidification (S/S) of arsenic contaminated soi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59.
512
- 518.
30. Kim, DY., Lee, SH., Jung, J., & Kim,JG.
((2006)).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introducing pioneer herbaceous plants in the abandoned zinc mine soil revegetation..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1.
43
- 51.
31. Tessier, A., Cambell, PGC., & Bisson,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ytical Chemistry
51.
844
- 851.
32. Xian, Y., Wang, M., & Chen,W.
((2015)).
Quantitative assessment on soil enzyme activities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with various soil properties..
Chemosphere
139.
604
- 608.
33. Lim, SK., Chung, CY., Ok, YS., & Kim,JG.
((2002)).
Competitive adsorption of Cd and Cu on surface of humic acid extracted from peat..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5.
344
- 351.
34. Lee, SB., Kim, JG., Lee, DB., Lee, KB., Han, SS., Kim, JD., & Beak,SH.
((2002)).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of pig manure due to composting with turning times and depth..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5.
127
- 135.
35. Havlin, JL., Beaton, JD., Tisdale, SL., & Nelson,WL.
((2005)).
Soil fertility and fertilizers: an introduction to nutrient management (Chapter 5 Phosphorus).
160
- 198.
36. Jung, BG., Choi, JW., Yun, ES., Yoon, JH., & Kim,YH.
((2001)).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4.
326
- 332.